논문 상세보기

충남 태안군 신두리 대조차 해빈에 나타나는 다중사주의 계절별 지형변화 특성 KCI 등재

Seasonal Morphodynamic Changes of Multiple Sand Bars in Sinduri Macrotidal Beach, Taean, Chungn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태안군 신두리 대조차 해빈에 나타나는 다중사주의 여름철 출현과 겨울철 사라짐 패턴을 조사하고 이들이 어떻 게 겨울철에 소멸하고, 여름철에 다시 생성되는지를 토의하였다. 계절에 따른 다중사주의 지형변화는 VRS-GPS 시스템 을 이용하여 지난 4년 동안 주기적으로 해빈 측선측량을 실시하여 파악하였다. 사주의 구성퇴적물을 알아보고자 계절에 따른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유속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TIDOS 조류관측시스템을 여름과 겨울에 각각 설치하여 얻었다. 신두리 해빈은 급경사의 상부 사빈면과 완만한 하부 조간대 지역으로 구분된다. 사빈면은 범(berm)의 발달이 미약하고, beach cusp가 나타나지 않아 매우 단조로운 지형을 갖고 있다. 조간대 지역은 폭이 400 m로서 넓고 2 - 5개의 사주열이 나타난다. 사빈의 구성 퇴적물 평균입도는 2.0-2.75 phi 범위로 세립사에 해당하 며, 육지방향으로 갈수록 조립해지는 경향을 띤다. 반복적 측선측량 결과, 신두리 해빈은 여름철 다중사주가 최대 5열 까지 발달하는 해빈 단면을, 반면 겨울철에는 사주의 발달이 없는 편평한 해빈 단면을 갖는다. 겨울철 다중사주의 사라 짐은 겨울의 강한 파랑으로 사주의 마루가 침식되고 골에 퇴적되는, 깎고 채움의 결과로 해석된다. 여름철 다중사주의 생성은 고조 시 정지상태에서 정상파 운동에 의해 생성되기보다는 조위면의 이동과 평상 파랑이 결합된 break-point 기 작으로 설명된다. 평균해수면 근처의 사주가 가장 크고 뚜렷함, 육지방향으로 갈수록 사주의 진폭이 감소함, 다중사주 진폭의 불규칙함, 사주의 강한 비대칭, 그리고 육지방향으로 10-30 m 사주의 이동은 break-point 기작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patterns of multiple bar formation in summer and flattening in winter on the macrotidal Sinduri beach in Taean,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es their formation and subsequent flattening. Beach profiling has been conducted regularly over the last four years using a VRS-GPS system. Surfac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along the transectline, and grain size analyses were performed. Tidal current data were acquired using a TIDOS current observation system during both winter and summer. The Sinduri macrotidal beach consists of two geomorphic units: an upper high-gradient beach face and a lower gentler sloped intertidal zone. High berms and beach cusps did not develop on this beach face. The approximately 400-m-wide intertidal zone comprises distinct 2-5 lines of multiple bars. Mean grain sizes of sand bars range from 2.0 to 2.75 phi, corresponding to fine sands. Mean sizes show shoreward coarsening trend. Regular beach-profiling survey revealed that the summer profile has a multi-barred morphology with a maximum of five bar lines, whereas, the winter profile has a non-barred, flat morphology. The non-barred winter profiles likely result from flattening by scour-and-fill processes during winter. The growth of multiple bars in summer is interpreted to be formed by a break-point mechanism associated with moderate waves and the translation of tide levels, rather than the standing wave hypothesis, which is stationary at high tide. The break-point hypothesis for multi-bars is supported by the presence of the largest bar at mean sea-level, shorter bar spacing toward the shore, irregular bar spacing, strong asymmetry of bars, and the 10-30 m shoreward migration of multi-bars.

목차
서 론
연구 지역
연구 방법
연구 결과
    신두리 대조차 해빈의 지형
    다중사주의 계별 변화 양상
    신두리 해빈의 표층 퇴적물 입도 특성
    다중사주에서 얻은 조류 유속과 유향
토 의
    다중사주의 겨울철 소멸과 여름철 생성
    퇴적물 입도, 조류 유속과 다중사주의 관계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도기덕(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 49112,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727) | Kideok Do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Republic of Korea)
  • 윤현호(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환경연구센터, 34132,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4) | Hyun Ho Yoon (Quaternary Environment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34132, Republic of Korea)
  • 이영윤(지마텍(주), 48071,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1108) | Young Yun Lee (GEMATEK corporation, Busan 48071, Republic of Korea)
  • 장태수(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61186,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 Tae Soo Chang (Faculty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