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클로라이드를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4차염화 중합을 통한 이온성 공액구조 고분자의 합성과 특성 연구

An Ionic Conjugated Polymer via the Quaternization Polymerization of 2-Ethynylpyridine Using Trimellitic Anhydride Chloride: Synthesis and Propertie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5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반응성 에시드 클로라이드인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클로라이드를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중 합을 통하여 트리멜리틱 부분을 측쇄로 갖는 이온성 공액구조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2-에티닐피리딘과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클로라이드를 1:1 몰비로 DMF 용매에서 반응시킨 결과 해당 공액구조 고분자를 높은 수율로 합성 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반응 단계에서 만들어진 단량체인 N-치환-2-에티닐피리디늄 염은 별도의 촉매 사용없이도 중합반응이 잘 진행되었다. NMR, IR, UV-visible 등의 분광분석기를 사용하여 합성 고분자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설계한 치환기를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 고분자의 전기-광학적 특성과 전기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고분자는 자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 500 nm까지 넓은 흡수 피크 를 보였으며 PL 최대값은 539 nm에서 나타났다.

A new ionic polyacetylene with a trimelitic moiety as a side chain was synthesized in high yield via the polymerization of 2-ethynylpyridine using trimellitic anhydride chloride without any additional catalyst in 1:1 molar ratio. The activated acetylenic triple bond of monomeric N-substituted-2-ethynylpyridinium salts, formed at first reaction step, proceeds with linear polymerization to give the corresponding polymers. The instrumental analysis results o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resulting polymer using analysis equipment such as NMR, IR, and UV-visible spectroscopies, confirmed that a conjugated polymer with designed substituent was synthesized. The electro-opt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lymer were measured and duscussed. PETAPC showed a broad absorption peak in the visible region up to 500 nm as well as ultraviolet region. PL maximum value of polymer was 539 nm.

목차
1. Introduction
2. Experimental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s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제갈영순(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Yeong-Soon Gal (Department of Fire Safety, Kyungil University, 50 Gamasil-Gil, Hayang-Eup, Gyeongsan-Si, Gyeongsangbuk-do, 38428,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진성호(부산대학교 화학교육과) | Sung-Ho Jin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79, Korea)
  • 박종욱(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 Jongwook Park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Suwon 17104,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