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저소득 니트청년의 자활근로사업 참여 경험 KCI 등재

Experience of Low-Income NEET Youth Participating in Self-Support Work Proje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4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 니트청년의 자활근로 참여 경험에 대해 탐색하고 그 실제를 파악하였다. 청년 실업률이 증가함에 따라 일자리 창출정책이 활 발하게 나타나지만 저소득 니트청년에 대한 근본적인 일자리 창출 대책 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니트청년이 자활 근로사업에 참여한 경험과 의미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활사업단에 참여한 저소득 니트청년 10명을 인터뷰하 였으며 그들의 입장과 문제틀, 제도와 현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니트청년들은 가족이나 세상과 단절된 삶에서 주변 친구들의 지지 로 다시 살아갈 용기를 냈으며, 외부 권유로 찾아간 자활센터는 딱 맞는 일은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 조정되는 자활사업단의 일을 만나게 되는 긍 정적 경험이 발견되었다. 반면, 니트청년들은 처음으로 일터라는 경험을 통해 경제적 안정감을 느꼈으나 제도적으로 사업단의 종류가 많지 않고, 최저시급보다 낮으며, 사회로 나가기 위한 자격증을 취득하기에 어려운 제도의 구조 속에 한계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근로연계복지 제도의 실제를 파악하여 자활사업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Self-Sufficiency benefit participated in by low-income NEET youth. At the recent OECD Working Party on Social Policy (WPSP) meeting, young people are having difficulty entering the labor market due to COVID-19, and some are expected to give up job seeking, so it was recommended to develop a support policy for NEET youth. As the proportion of NEET youth in the country increases, various youth employment policies are being approached. For this purpose, conducted interviews with 10 economically disadvantaged young adults who have experienced detachment from both family and broader society. These individuals found the resolve to rebuild their lives with the support of their peers. They encountered self-reliance programs, albeit not perfectly suited to their needs, which offered opportunities for engagement in activities tailored to their circumstances. Based on this analysis of the gap between policy and reality, proposed recommendations to refine self-reliance programs and make them more eff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제도적 문화기술지
    2. 연구참여자 모집 및 인터뷰 방법
    3. 분석방법 및 윤리적 고려
Ⅳ. 연구 결과
    1. 니트를 경험한 자활사업단 참여 청년의 입장(standpoint)
    2. 자활근로 사업의 진입 경험
    3. 자활사업단에서의 자활 근로 일지식
    4. 텍스트에 의해 조정되는 자활근로사업 양상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권소일(한남대학교) | Kwon So-il (Hannam University)
  • 이상아(한국자활복지개발원) | Lee Sanga (Korea Development Institute for Self-Sufficiency and Welfar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