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rtistic expression through Heidegger and Bachelard's concept of intimacy: Psychological exploration of existence and inner self
본 연구는 예술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되는 내밀성 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의 표현 양상과 심리적 표상 방식을 분석 하고자 한다. 내밀성은 개인의 깊은 감정, 생각 및 경험을 포함 하는 심리적 영역으로, 예술작품을 통해 외부로 드러날 수 있 다.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와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의 내밀성 개념을 기반으로,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예술가들이 내밀성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고찰하였다. 하이데거는 내밀성을 존재의 본질이 드러나는 공간으로 간주하며, 존재가 스스로를 나타내는 방식을 강조한다. 바슐라르는 시적 상상력을 통해 사 적이고 은밀한 공간에서의 내밀성을 탐구하며, 예술가들이 자 신의 내면을 어떻게 예술로 형상화하는지를 설명한다. 본 연구는 하이데거와 바슐라르의 이론을 동·서양 예술가들 의 작품 분석에 적용하여, 최북, 마크 로스코, 이우환 등의 예 술가들이 작품을 통해 내밀성을 어떻게 드러냈는지 살펴보았 다. 이들은 예술적 창작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존재의 심리적 깊이를 탐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 을 통해, 내밀성이 예술가의 심리적 해방과 창작 과정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하며, 현대 예술에서 심리적 깊 이와 자아 탐구의 표현방식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예술가들의 창작 과정에 대한 심리적 이해를 높이고, 예술 교육 및 치료 분야에서 내밀성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함의를 제시한다. 또한, 예술의 본질적 역할을 재 조명하여 현대 예술의 표현 방식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odes of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of artists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intimacy, which is emerging as a crucial element in the field of art psychology. Intimacy refers to the psychological domain that encompasses deep emotions, thoughts, and experiences, which can be revealed through artistic works. Based on the concepts of intimacy by Martin Heidegger and Gaston Bachelard, this study explores how artists express intimacy across various artistic genres. Heidegger regards intimacy as a space where the essence of existence is revealed, emphasizing the way existence manifests itself. Bachelard, on the other hand, explores intimacy within private and hidden spaces through poetic imagination, explaining how artists embody their inner worlds in their art. This study applies Heidegger and Bachelard’s theories to analyze the works of both Eastern and Western artists, including Choi Buk, Mark Rothko, and Lee Ufan, examining how these artists express intimacy through their creations. Their artistic endeavors illustrate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ir inner worlds and exploring the psychological depth of existence.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intimac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sychological liberation of artists and the creative process, offering new insights into the representation of psychological depth and self-exploration in contemporary art. This research enhances the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reative process of artists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applying the concept of intimacy in art education and therapy. Additionally, it contributes to reexamining the essential role of art and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expression in moder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