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가산림문화자산의 분류체계와 지정기준에 관한 연구 1) - 명승 및 천연기념물과의 비교를 중점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Designation Criteria of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0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세계화, 지방화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다양성의 가치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경쟁단위를 지자체 중 심체제로 전환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는 지역문화자원은 '명승'과 '국가산림문화자산'이다. 산림청은 2014년부터 산림 생태·경관·문화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고 역사성이 큰 유·무형의 자산을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하고 있다. 2022년 11월까지 지정된 국가산 림문화자산은 전국적으로 총 80건이며, 이중 전라북도가 18건에 달하는 반면 충청북도는 하나도 지정 되지 않았다. 이는 지자체의 관심의 차이에서 기인되는 것으로서 각 지자체는 향후 경쟁적으로 도내 자원을 국가산림자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후보지 발굴과 등재노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 구는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정의와 지정기준 검토를 통해 산림자산의 지정기준 및 분류체계 개선, 유산 개념의 세분화, 자산의 지평 확장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산림청이 지정·운 영되는 2022년 11월 30일 기준으로 지정된 산림유산 총 80건과 지정에 따른 분류체계에 대한 검토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가유산청이 지정하는 ‘명승’과 ‘천연기념물’의 기준 및 분류체계과 비교·검토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문화자산의 정의’에 대한 검토 결과 국가산림문화자산 중 산림과 관련된 생태적 가치는 ‘천연기념물’의 과학적·학술적 가치와 상충되며, 산림문화자산의 경 관적 가치는 ‘명승’의 경관적 가치와 상충되는 등 산림문화자산과 유사 문화유산 간 가치기준의 혼재가 다수 발견된다. 이는 문화유산 간 반복적인 재지정 및 해제를 초래하며, 추후 혼란을 막기 위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기준’ 검토결과 문화유산 중 ‘명승’과 ‘천연기 념물’ 그리고 일부 ‘사적’과도 유사한 분류속성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중분류의 ‘숲’에 해당하는 소분 류 ‘마을숲’은 ‘명승’이나 ‘천연기념물’의 세부분류기준 중 하나인 ‘생활문화 등과 관련되어 가치가 큰 인공 수림지’와 일부 중복되고 있다. ‘자연물’의 옛길, 바위샘, 계곡, 폭포, 동굴, 화석지 등 역시 거의 동 등한 기준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사적 및 근대유산’은 명칭 그대로 ‘사적’ 분야와, 정원은 ‘명승’ 분 야와, 그리고 동식물의 ‘화석’은 ‘천연기념물’ 지질분야와 밀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국가산 림문화자산 분류기준’을 검토한 결과 개념상의 변별력 부족으로 인한 차별성 부족과 모호성, 유사 분류 군 간 성격의 불균질성, 조합형의 구체적인 정의 부재로 인한 혼란 등을 지적하였다. 또한 유사 문화유 산과 비교할 때 개념의 충돌, 개념의 소극적 적용 등 문화유산 간 연계 부족을 보였다. 이는 국가적 차원 에서 전반적인 문화유산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각 기관에서 용어 및 개념이 오용되거나 혼용되지 않 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합형 중 ‘기록물+금석각류를 제외하면 금속류는 한 건도 지정되지 않 고 석각류 일색임을 볼 때 향후 지정 추이를 살펴보며 명칭을 수정하거나 성격에 따라 분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가산림문화자산의 분포는 전라북도가 18건(22.5%), 전라남도 17건(21.3%), 강 원도 14건(17.5%), 경상북도 11건(13.8%), 경상남도 7건(8.8%), 경기도 4건(5.00%), 서울특별시와 부산 광역시 그리고 충청남도가 각각 2건(2.5%), 대전광역시와 제주특별자치도 각 1건(1.3%) 순으로 나타났 다. 이에 반해 충청북도는 단 1건도 지정되고 있지 않아 지역적 편중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는 명승에 비해 지정절차가 간소한데 비해 각 지자체의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관심과 유산지정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자체의 적극성과 산림문화자산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홍보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rends have intensified, the value of diversity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nd the trend of shifting the unit of competition to a local government-centered system is becoming more pronounced. In this context, the cultural resources that have recently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are 'Scenic Sites' and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Since 2014,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been designating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with high ecological, landscape, and cultural preservation valu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s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As of November 2022, a total of 80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have been designated nationwide, with 18 in Jeollabuk-do and none in Chungcheongbuk-do. This reflects the difference in interest among local governments, and it is expected that local governments will intensify their efforts to discover and register local resources as National Forest Assets in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improvements in the designation criteria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forest assets, the refinement of the concept of heritage,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assets through a review of the definition and designation criteria of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The study examines a total of 80 forest heritage sites designated as of November 30, 2022,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criteria and classification systems of 'Scenic Sites' and 'Natural Monuments' designa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logical value of forest-related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conflicts with the scientific and academic value of 'Natural Monuments,' and the landscape value of forest cultural assets conflicts with the landscape value of 'Scenic Sites,' revealing a mix of value criteria among similar cultural heritage. This can lead to repetitive re-designation and revoc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clear criteria should be presented to prevent future confusion. Second, the designation criteria for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share similar classification attributes with 'Scenic Sites,' 'Natural Monuments,' and some 'Historic Sites.' Thir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lack conceptual distinctiveness, resulting in a lack of differentiation and ambiguity, heterogeneity in the characteristics of similar classification groups, and a lack of specific definitions for composite types. Fourth, there is a lack of linkage between cultural heritage, with conflicts in concepts and passive application of concepts when compared to similar cultural heritage. Fifth,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shows a strong regional bias, with Jeollabuk-do having the most (18 cases, 22.5%) and Chungcheongbuk-do having none. This suggests that local governments lack interest and a sense of the need to designate forest cultural assets, and additional research on promo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is needed to activate the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 system.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문화유산과 산림문화자산
    2.2 산림문화자산 관련 연구동향
3. 연구방법
    3.1 연구범위
    3.2 조사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산림문화자산의 정의와 기준기준 검토
    4.2 산림문화자산과 명승과의 비교 분석
    4.3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현황
    4.4 산림문화자산의 분류체계에 대한 고찰
    4.5 산림문화자산 분류기준의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
  • 한선영(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eonyeong 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정푸름(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Pooreum Je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