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지피복도의 시계열 변화를 통한 녹지공간변화 및 정책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Green Space Changes and Policies through Time Series Changes in Land Cover Maps -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0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대상지 내 녹지의 변화상을 GIS를 활용하여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병행하여 연대순 녹지정책과 예산투입현황을 비교분석하여 녹지정책의 제안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 째, GIS분석을 통한 토지피복 변화량 분석을 통해 대전시 녹지변화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대전시 녹지 정책 방향을 조사, 분석한다. 셋째, 분석한 녹지변화 특성과 대전시 정책방향 분석을 비교 분석하여 결 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써 첫째, 대전시의 녹지면적은 1989년도에서 1998년도에는 서구와 대덕구를 제외한 구에서 녹지의 면적 증가량이 많아 전체적인 녹지면적이 증가하였고 1998년도에서 2009년도에는 동구와 대덕구를 제외한 구에서 녹지의 면적 증가량이 많아 전체적인 녹지가 증가하였 다. 하지만 2009년도에서 2020년도에는 5개 구 모두 녹지가 감소하여 전체적인 녹지 또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녹지정책과 예산을 보면 전반적으로 예산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7년부터는 전년 대비 예산이 2배 정도 증액되어 투입되었으며, 2010년 대비 2020년에는 345%나 증가하였다. 각 구별로는 2010년에는 유성구>대덕구>동구>서구>중구로 예산이 많았으나 2020년에는 유성구>대덕 구>서구>동구>중구순이었다. 정책 또한 유성구, 서구, 동구, 중구, 대덕구 순으로 많은 정책을 시행하 였다. 마지막으로 비교분석 결과 유성구는 가장 많은 정책과 그에 따른 많은 예산을 썼으나 녹지의 감소 면적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상반되게 대덕구는 가장 적은 정책과 세 번째로 적은 예산을 썼지만 녹지면적 변화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시사점으로서 공원녹지의 기본바탕이 되는 녹지량은 시 가지 확장과 개발계획의 논리하에 지속해서 감소하여 가고 있다. 공원녹지의 새로운 흐름에 맞추어 양 적 확충에서 벗어나 질적인 측면에서 과감한 녹지정책의 발굴 및 예산의 확보를 통하여 시민들의 요구 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green space in the target area in a time-series manner using GIS, and in parallel, compares and analyzes chronological green space policy and budget investment status to derive suggestions for green space policy. In this study, first,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change in Daejeon by analyzing land cover change through GIS analysis. Second, w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irection of Daejeon City's green space policy. Third, we would like to draw a conclus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nalyzed green space change characteristics and Daejeon City's policy direc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overall green space area in Daejeon increased from 1989 to 1998, with a large increase in green space in districts excluding Seo-gu and Daedeok-gu, and from 1998 to 2009, green space increased in districts except Dong-gu and Daedeok-gu. The overall green space increased due to the large increase in area. However, from 2009 to 2020, green space decreased in all five districts, showing that the overall green space also decreased. Second, looking at green space policies and budgets, the overall budget is on the rise. Starting in 2017, the budget was doubl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increased by 345% in 2020 compared to 2010. By category, in 2010, the budget was Yuseong-gu > Daedeok-gu > Dong-gu > Seo-gu > Jung-gu, but in 2020, the budget was Yuseong-gu > Daedeok-gu > Seo-gu > Dong-gu > Jung-gu. In particular. Many policies were also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order: Yuseong-gu, Seo-gu, Dong-gu, Jung-gu, and Daedeok-gu.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Yuseong-gu spent the most policies and the largest budget, but showed the largest decrease in green space area. In contrast, Daedeok-gu used the fewest policies and the third-lowest budget, but showed the largest change in green space area. appeared less. As an implication, the amount of green space, which is the basis of park green space, is continuously decreasing under the logic of urban expansion and development plans. In line with the new trend of park green space, efforts are required to move away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develop bold green space policies and secure budgets in qualitative term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citizens' needs and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녹지
    2.2 토지피복도
    2.3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대전시의 녹지변화분석
    3.2 정책자료 분석
4. 결과 및 고찰
    4.1 연도별 토지피복도 분석
    4.2 녹지정책 및 예산분석
    4.3 녹지변화와 정책 및 예산 비교분석
    4.4 각 구별 녹지 면적변화 및 정책, 예산 비교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권호중(배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Hojung Kw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aiChai University)
  • 이시영(배재대학교 조경학과) | Shiyoung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