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여디자인을 통한 운동장녹화형 학교숲 설계안 도출에 관한 연구 - 여수양지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Deriving the Masterplan for a Playground-Greened Type School Forest through Participatory Design - A Case Study of Yeosu Yangji Elementary School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0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수양지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참여디자인을 통하여 기존의 운동장 기능과 함께 친환 경숲, 놀이, 학습이 공존하고 이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운동장녹화형 학교숲 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디자인 과정 및 도구, 운동장녹화형 학교숲의 도입요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참여디 자인 워크숍 과정을 9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는 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2단계~9단계는 학생 21명(1단계 참여)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전교 학생 및 교직원,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 2단계에서 그림그리기와 설문을 통해 운동장녹화형 학교숲이 ‘자연공간형’, ‘모험놀이공간형’, ‘커뮤니티공간형’으로 구분되고 유형별 세부공간이 도출되었다. 세 유형은 각각 대안 1, 2, 3의 주제가 되 어 3단계에서 배정된 팀에 의하여 모델화되었다. 대안 1은 생태연못과 생태숲을 중심으로 대안 2는 트리 하우스와 목재 모험놀이시설을 중심으로 대안 3은 잔디광장, 커뮤니티공간, 쉼터 중심으로 디자인되었 다. 4단계에서 전 학생 및 교직원 투표를 통해 대안 2가 최종 구상안으로 선정되었고 6~8단계의 우수사례 지 체험 및 피드백단계와 마지막 추진운영위원회와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최종설계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인 운동장녹화형 학교숲의 최종 설계안은 학교숲의 주요기능인 생태성,자연성, 환경성, 교육성과 운동장의 주요 기능인 체력단련, 놀이, 학교행사, 지역과의 소통 등의 복합문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최종 설계안에 대하여 운동장 녹화형 학교숲 설계안으로서의 우수사례 및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이용후 평가’가 후속연구로 진행될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masterplan for a playground-greened type school forest at Yeosu Yangji Elementary School through a participatory design. This aims to integrate the existing functions of the playground with an ecological forest where play and learning coexist, while aligning with user needs. "The study process involved a nine-phase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participatory design tools and the key elements of playground-greened type school forests. The 1st phase engaged 48 students. The subsequent phases, starting from 2nd to 9th involved 2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1st phase) and expanded to include all students, school staff, and parents as necessary. During the 2nd phase, drawings and surveys categorized the playground-greened type school forest into three types: 'nature space type,' 'adventure play space type,' and 'community space type' with detailed spaces identified for each. These types were designed through the modeling work of designated teams in the 3rd phase as Alternatives 1, 2, and 3. Alternative 1 focused on an ecological pond and forest; Alternative 2 centered on a treehouse and wooden adventure play facilities; and Alternative 3 emphasized a grass plaza, community spaces, and rest areas. In the 4th phase, a school-wide vote led to the selection of the 'treehouse adventure play school forest'(Alt. 2) as the final design. This design was then developed into the final masterplan through three feedback phases (6th to 8th) involving students, parents, and staff." The final masterplan is expected to enhance the ecological, natural,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the school forest while improving the playground's multifaceted cultural roles, including physical exercise, play, school events, and community interaction. Regarding the final master plan, a post-occupancy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to objectively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best practices of the playground-greened type school forest desig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참여디자인의 과정과 도구
    2.2 운동장 녹화형 학교숲의 도입요소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지
    3.2 연구과정과 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흥미유발 및 인지 단계
    4.2 기대파악 및 표현 단계
    4.3 대안별 공간구상 및 공간배치 단계(모델링)
    4.4 최종 대안 선정 및 기본구상 도출
    4.5 우수사례지 체험과 피드백 단계
    4.6 최종 설계안 도출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강태순(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Taesun K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o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