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은유분석을 활용한 학교 정치교육에 대한 Z세대의 인식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Generation Z's Perception of Political Education in School using Metaphorical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1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은유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정치교육과 관련한 학교 교육과정의 교과 및 비교과 학습 과정에서 형성된 학생들의 경험적 인식과 욕구가 어떠하며, 학교에서의 정치교육이 그 목표와 가치를 충 분히 실현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통해 학교 정치교육의 방향을 재고하고, 학생들의 특성 과 눈높이에 맞는 정치교육 교수 설계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학교 정치교육에 대한 인식은 ‘일상’, ‘장벽’, ‘겉핥기’, ‘제도’의 네 가지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각 범주는 각각 2개의 주제어를 포함하고 있는데, 먼저 ‘삶’과 ‘상식’은 정치교육을 당연한 ‘일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인식이 다수 포함되었다. 둘째, ‘장벽’이라는 인식은 관련 교과의 내용적 요소에 대 한 ‘어려움’과 ‘중립’의 문제로 인해 원활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의미한다. 셋째, ‘겉핥기’ 범주는 ‘허울’과 ‘허상’이라는 부정적 의미의 주제를 담고 있는데, 이는 현재 삶에 영향을 줄 만큼 배운 내용이 기억에 남아있지 않아 실속이 없거나 교과서 속의 이상적인 정치와 실제 현실의 정치가 매우 다르다고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제도’로 바라 본 관점은 정치교육을 입시와 학업성취의 수단 적 ‘도구’로 바라보는 관점과 정치교육이 실제적 지혜를 쌓는 접근이라기보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개념적 지식 전달에 그치는 암기 위주의 개론 학습이라고 ‘형식’적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 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empirical perceptions and desires regarding political education in schools and to determine whether political education effectively realizes its goals and values. The findings categorize perceptions of school political education into four themes: 􍾧Everyday Life,􍾨 􍾧Barriers,􍾨 􍾧Superficiality,􍾨 and 􍾧Institution.􍾨 Each theme encompasses two key sub-themes. First, 􍾧life􍾨 and 􍾧common sense􍾨 reflect a positive view of political education as an inherent part of 􍾧everyday life.􍾨 Second, the theme 􍾧barriers􍾨 indicates a negative perception due to difficulties and issues of 􍾧neutrality􍾨 in the content, which has impeded effective education. Third, 􍾧superficiality􍾨 includes negative aspects such as 􍾧facade􍾨 and 􍾧illusion,􍾨 suggesting that the learned content is either not impactful or that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idealized politics presented in textbooks and actual political realities. Finally,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 reveals a view of political education as a 􍾧tool􍾨 for entrance exams and academic achievement, rather than an approach to build practical wisdom, reducing it to a formal, memorization-based introduction to historical fa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s educ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정치교육의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2. 은유분석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1. 학교에서의 정치교육에 대한 Z세대의 은유 유형 및 빈도
    2. 학교 정치교육에 대한 Z세대의 인식
    3. 학교 정치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의 차이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하정(국립부경대학교 수산해양교육연구소 연구교수) | Kim Ha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