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상ㆍ기후/기후변화 R&D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기후연구 (Journal of Climate Research)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KU Climate Research Institute)
초록

기상청 내외의 기상·기후 및 기후변화의 R&D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변화와 새로운 요구들에 대하여 개개 기관들의 근원적 임무들에 대한 역할들이 조사되었다. 선진국 기관들과 국제기구들의 서비스 내에서 R&D 프로젝트들의 현황과 미래 경향들이 역시 조사되었다. 그러한 전망과 변화들에 근거하여 기상청 비전과 정책과 연관된 R&D 관리와 운영의 미래 개발에 대한 방향들이 유도되었다. 첫째,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의 개발, 개선 및 창출하기 위한 현업용 R&D 자금을 가진 내부 기상청 기금과,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얘기하는 기상청 현업과 정부기관의 대형 프로젝트를 위한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지원을 위한 기금, 그리고 나머지는 기상과 기후/기후변화에 대해 기본과학기술을 연구하는 기상지진연구사업단(CATER), 기후과학연구관리단(RACS) 등과 같은 순수 R&D 기금에 대한 기상청 내부의 수행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연구결과와 달성에 대해 최대화하기 위한 R&D 프로젝트 추적 시스템적인 개선의 연구 개선들과 전략을 분해하는 것으로, 평가지수의 다른 가중가치와 방법을 추가하는 것과 같은 시스템적인 개정에 대한 두가지 방법이 있다. 나머지는 여러 분야들에서 도래된 미래 계획에 대한 핵심기술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R&D에 대한 기상청 투자 전략들을 이끌어갈 새로운 매트릭스들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은 첨단기술에 대해 한국의 국가 및 국제 경쟁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기상연구개발 수행기관별 역할정립 방안과 연구중복 해소대책 3. 출연금 사업의 브랜드 개발을 위한 방안 4. 연구 성과 최대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5. 총괄적이고 체계적인 전문기관 설립에 대한 타당성 검토 6. 요약 및 결론 사사 참고 문헌
저자
  • 정효상
  • 류찬수
  • 김창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