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를 통해 제조된 aqueous phase separation membranes에 대한 총론 KCI 등재

Aqueous Phase Separation Membranes Prepared by Polyelectrolyte Complexation: A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3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멤브레인 기술은 폐수 처리, 담수화, 혈액 투석 등의 분리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분자 멤브레인을 만 들기 위해 사용되는 비용매상전이 방식에서 환경에 유해하고 독성인 유기 용매를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용매 상전이 방식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를 물로 대체해 고분자 멤브레인을 제작하는 aqueous phase separation (APS) 방법이 주 목받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APS의 원리와 APS를 통한 멤브레인의 제작 공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멤브레인의 구조는 단량체 의 비율, 수용액의 pH와 염 농도 차이, 캐스팅 용액의 점도, 가교제 농도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Membrane technology has been used in separation processes such as wastewater treatment, desalination, and hemolysis. However, in proccess of the non-solvent-induced phase separation (NIPS) which is the most widely adopted method for fabricating porous polymer membranes, using toxic organic solvents is a critical problem for environmental aspect. To resolve this problem, the aqueous phase separation (APS) has received attention, which produces polymeric membranes without using the organic solvent. In this review, we provide principle and process of APS. The ratio of monomers, pH and salt concentration in aqueous solution, viscosity of casting solutions, and concentration of cross-linkers can leverage the structures of membrane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APS를 통한 멤브레인 형성 원리
    2.1.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2.2. APS를 통한 멤브레인 형성 과정
3. APS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3.1. 단량체 비율
    3.2. 염의 종류와 수용액 간의 염 농도 차이
    3.3. 수용액 간의 pH 차이
    3.4. 캐스팅 용액 점도
    3.5. 가교제 농도
4. APS를 응용한 멤브레인 형성 방법
    4.1. Spontaneous water-on-water (SWOW) spreadingmembrane
    4.2. Enzyme enhanced membrane
5. Summary
감 사
Reference
저자
  • 조광민(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대학원) | Gwangmin Jo (Department of Polymer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South Korea)
  • 정예진(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 Yejin Jeong (School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South Korea)
  • 김지우(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 Jiwoo Kim (School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South Korea)
  • 고영운(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대학원, 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 Yeongun Ko (Department of Polymer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South Korea, School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