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리왕산 천연활엽수림 주요 수종의 탄소저장량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Carbon Stocks in Dominant Species of the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3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탄소흡수원으로서 천연활엽수림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나, 다양한 수종과 다양한 입지 환경으로 인하여 정확한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의 천연활엽수림의 주요 수종인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고로쇠나무 (Acer pictum subsp. mono),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를 대상으로 임목 바이오매스, 낙엽 탄소저장량, 토양 탄소저장량을 비교하고, 임분의 다양한 특성과 탄소저장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43개 조사구를 구획하였으며, 임목 바이오매스, 낙엽 탄소저장량, 토양 탄소저장량을 측정하였다. 임목 바이오매스의 탄소저장량은 신갈나무 우점 임분에서 172.64tC/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로쇠나무 임분 (170.98tC/ha), 물푸레나무 임분(170.49tC/ha)순으로 나타났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신갈나무 우점 임분에서 78.07tC/ha으로 다른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낙엽의 탄소저장량은 임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탄소저장량은 신갈나무 임분에서 258.79tC/ha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로쇠나무 임분(257.65tC/ha), 물푸레나무 임분(241.65tC/ha) 순으로 나타났다. 총 탄소저장량은 임목 바이오매스의 탄소저 장량(r = 0.88**)과 토양 탄소저장량(r = 0.79**)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천연활엽수림의 최적의 탄소 관리를 위해서는 임령, 임목 생장, 토양 특성 등에 대한 이해와 장기적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Natural Broadleaved Forest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carbon sinks, yet accurately estimating their carbon stocks is challenging due to the diversity of species and site characteristics. We focused on the dominant species of the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the Mt. Gariwang of Pyeongchang-gun, Gangwon-do, Quercus mongolica, Acer pictum subsp. mono and Fraxinus rhynchophylla. We compared tree biomass, litter carbon stock and soil carbon stock among these species, and conducted the study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with growth characteristics. A total of 43 plots were examined for the tree biomass, litter carbon stocks and soil carbon stocks. The carbon stocks of tree biomass were highest at 172.64tonC/ha in Q. mongolica stand, Acer pictum subsp. mono stand (170.98tonC/ha). F. rhynchophylla stand (170.49tonC/ha). The soil and carbon stock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Q. mongolica stand at 78.07tonC/ha respectively, compared to other stand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tter carbon stock. Total carbon stocks (tree + soil + litter) were highest in Q. mongolica stand (258.79.1tonC/ha), followed by Acer pictum subsp. mono stand (257.65tonC/ha) and F. rhynchophylla stand (241.65tonC/ha). The total carbon stocks in forest ecosystems were influenced by both tree biomass carbon stocks (r = 0.88**) and soil carbon stocks (r = 0.79**). It can be seen that understanding and long-term monitoring on stand age, stand grwoth, soil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for optimal natural broadleaved forest carbon management.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2. 임분조사 및 임분구조 분석
    3.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4. 탄소저장고별 탄소저장량 추정
    5.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임분 현황
    2.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3. 임목 탄소저장량
    4. 토양 탄소저장량
    5. 낙엽층 탄소저장량
    6. 산림생태계의 총 탄소저장량
    7. 탄소저장량과 임분 특성의 관계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수호(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박사 과정) | Su Ho Lee (Ph.D. Candidate, Departmant of Forest Resources, Daegu Univeristy, Gyeongsan, 38453, Korea)
  • 박영대(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과 교수) | Yeong Dae Park (Professor, Departmant of Forest Resources, Daegu Univeristy, Gyeongsan, 3845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