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산 양식 자주복의 테트로도톡신 및 그 유사체 분석 KCI 등재

Determination of Tetrodotoxin and its Analog Composition in Korean Farmed Takifugu rubripes Pufferfis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3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양식 자주복의 테트로도톡신 및 그 유사체를 UHPLC-QqQ 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테 트로도톡신 분석법의 직선성과 일내 및 일간 정확도와 정 밀성, 검출 한계, 정량 한계를 구한 결과 CODEX 가이드라 인 기준에 적합하였다. 국내산 양식 자주복의 부위별 테트 로도톡신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일부 시료의 간과 근육 부위 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에서 테트로도톡신이 검출되지 않 았으며, 검출된 시료도 간과 근육 부위에서는 각각 0.07 mg/ kg, 0.06 mg/kg의 낮은 농도로 테트로도톡신이 검출되었다. 테트로도톡신 유사체의 경우 국내산 양식 자주복에서 dideoxyTTX, trideoxyTTX, norTTX가 검출되었다. 이 중 dideoxyTTX는 국내산 양식 자주복의 모든 부위에서 주요 테트로도톡신 유사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산 양식 자주복의 테트로도톡신 및 그 유사체 분포를 이해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국내 해양생물 독소 데이터베 이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tissue distribution of tetrodotoxin (TTX) and its analogs in farmed Takifugu rubripes pufferfish sold in Korean markets was determin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in the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ode. The method detection limit for TTX ranged from 0.019 to 0.022 mg/kg in high-fat and low-fat matrices. The intra-day (n = 5) and inter-day (3 d, n = 15) accuracy and precision results met the Codex guidelines. Tetrodotoxin was not detected in most of the analyzed tissue samples. In the farmed T. rubripes tissues, TTX levels reached a maximum of 0.07 mg/kg in the liver. Among the TTX analogs, dideoxyTTX, trideoxyTTX, and norTTX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atabase of marine toxicity information for farmed Takifugu species sold in Korean market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표준품 및 시약
    양식 자주복 시료
    추출 및 정제
    기기분석조건
    분석법 검증
    통계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분석법 검증 결과
    국내산 양식 자주복의 부위별 테트로도톡신 함량 분석 결과
    국내산 양식 자주복의 부위별 테트로도톡신 유사체 분석 결과
Acknowledgments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박봉기(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Bong Ki Par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Anseong, Korea)
  • 이현준(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Hyunjun L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Anseong, Korea)
  • 박종협(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Jonghyub Par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Anseong, Korea)
  • Nobuhisa Kajino(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최광식(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Kwang-Sik Choi (Department of Marine Life Science (BK21 FOUR) and Marine Science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 이완옥(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Wan-Ok Lee (Department of Marine Life Science (BK21 FOUR) and Marine Science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 최창순(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Changsun Choi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Ang University, Anseong, Korea)
  • 이지현(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Jihyun Le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