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특정도서에 서식하는 조류 군집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지 특성 KCI 등재

Habitat Characteristics of Affecting on Bird Community in Specific Islands,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6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특정도서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미치는 서식지 요인의 구명을 위해 2017년 5월부 터 2019년 10월까지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하는 65개의 도서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서식지 환경은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산출된 도서의 면적과 육지로부터의 거리, 토지 피복 유형을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조사지역의 서식지 환경과 조류 군집의 생물다양성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서 내 숲의 비율과 더불어 수역의 비율, 도서의 크기, 초지의 비율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서식지의 크기는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의 증가와 연관되며, 이는 생물의 수용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또한 서식지 내 환경의 다양성은 조류 군집의 서식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에 따라 보다 다양한 환경을 갖는 서식지에서 생물다양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 결과는 조류의 서식지 및 중간 기착지로 가치가 높은 국내 특정도서의 조류 군집의 보존 및 종 다양성 증진을 위한 기초 생태자료로서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17 to October 2019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habitat variables and bird diversity on 65 specific islands in the east and southern coastal regions of South Korea. Habitat valuables on each island were divided by the area of the island from the digital topographic map, distance from land (including island and mainland), and land cover. The bird diversity index was affected by the area of islands and the proportion of land cover of forest, water, and grass. The area of habitat was related to the carrying capacity of species richness. Increasing the area of the island c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ird diversity. Spatial diversity in habitat increases the habitat usage of birds, which have different behaviors in foraging and breeding. Thus, increasing the area and spatial diversity in habitat positively correlate with bird diversity. Our results may be valuable for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bird communities on specific islands in South Korea.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분석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황현수(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전문위원) | Hyun-Su Hwang (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김혜진(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과정) | Hye-Jin Kim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 이윤경(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전임연구원) | Yun-Kyoung Lee (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 신현철(국립생태원 환경영향평가팀 선임연구원) | Hyun-Chul Shi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 차현기(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전문위원) | Hyoun-Gi Cha (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