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valuation of Priming Treatment with Repetitive Water Deficit for Enhancing Stress Tolerance in Petunia×hybrida KCI 등재

페튜니아 스트레스 내성 증진을 위한 반복적 건조 프라이밍 처리 효과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6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3,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페튜니아(Petunia×hybrida)의 내건성 증진을 위 해 스트레스 메모리 기작을 활용한 프라이밍 처리의 효과를 구명 하고자 하였다. 건조-회복 과정을 통한 프라이밍 처리를 4회 반복 수행하였고, 두 가지 프라이밍 강도(Priming1:물 100mL, Priming2: 물 50mL 관수 후 건조)를 적용한 후 5일 동안 건조스 트레스 조건에서 내성 증진 효과를 관찰하였다. 프라이밍 강도가 높은 Priming2 처리구에서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약 25시간 연장되었다. 이는 페튜니아가 스트레스 메모리 기작을 통해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정원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라이밍 기술의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 조건 에서의 프라이밍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화훼식물의 내건성 증진 에 대한 실용적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iming treatments utilizing stress memory systems to enhance water deficit stress tolerance in Petunia ×hybrida. The priming treatments were repeated four times using a water deficit-recovery process, and two levels of priming intensity were applied (Priming1: 100 mL water, Priming2: 50 mL water followed by water deficit). After the priming treatments, the plants were subjected to water deficit stress for five days by withholding irrigation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their tolerance. The results showed that under water deficit stress, the shelf life of plants in Priming2, which had a higher priming intensity, was extended by approximately 25 hours compared to the control. This suggests that the repetitive water deficit priming treatment successfully enhanced tolerance in petunia. The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of priming techniques to improve environmental stress tolerance in ornamental plants. Further research on priming effect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technologies for enhancing drought tolerance in floricultural crop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초 록
References
저자
  • Dong Hyeon Lee(Department of Horticul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 이동현 (전북대학교 원예학과)
  • Suejin Park(Department of Horticul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e Science & Techn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 박수진 (전북대학교 원예학과,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