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휴식용 향과 고농도 산소를 이용한 복합 자극의 효과: fNIRS 연구 KCI 등재

The Effects of Combined Stimulation Using Relaxation Scent and High Concentration Oxygen: fNIRS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8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이완을 유도하는 향과 고농도 산소를 결합한 자극이 심리적/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 하는 것이다. 같은 향 조건 하에서 산소 농도를 조절했을 때 나타나는 뇌혈류 반응과 각성도가 관찰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향은 라벤더 오일(이완 향)이었고, 산소 농도로는 일반 농도 산소(21%)와 고농도 산소(30%)가 사용되었다. 실험은 총 12명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휴식 기간(5분)과 자극 기간(5분)을 반복하여 실시되었다. 뇌혈류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비어-램버트(Beer-Lambert) 법칙에 따라 헤모글로빈(HbO) 농도가 추출되었다. 각성도는 5점 척도 설 문지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두 자극(라벤더+21%, 라벤더+30%) 간 비교를 위해 쌍체 t-검정이 실시되었다. 결과적 으로 라벤더+30%에서 라벤더+21%에 비해 전두엽의 HbO 농도가 증가하고 각성도가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은 기존 의 향 자극에 고농도 산소가 추가된 복합 자극이 더 많은 뇌 활성화와 이완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combined stimulation consisting of relaxation-inducing scent and high-concentration oxygen on psychological/physiological responses. The cerebral blood flow responses and arousal that occur when oxygen concentration is controlled under the same scent conditions were observed. The experiment’s scent was lavender oil (relaxing scent), and the oxygen concentrations were normal (21%) and high (30%). The experiment involved 12 male adults repeating a 5-minute rest period and a 5-minute stimulation period. The hemoglobin (HbO) concentration was extracted using the Beer-Lambert law to observe cerebral blood flow responses. Arousal was assessed using a 5-point scale questionnaire.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stimuli (lavender +21%, lavender +30%). Results reveal that HbO concentration in the frontal lobe increased, whereas arousal decreased at lavender +30% vs. lavender +21%.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ng high-concentration oxygen to scent stimulation can induce more brain activation and relaxation.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실험참여자
    2.2. 실험프로세스
    2.3. 데이터 수집 및 분석
3. 연구결과 및 토의
    3.1. 혈류역학 반응
    3.2. Arousal-Relaxation
4. 결론
REFERENCES
저자
  • 민병찬(국립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Byung-Chang M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