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방언을 활용한 브랜드디자인의 브랜드태도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Brand Attitude of Brand Design Using Local Diale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8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지역방언은 해당 지역이 가지고 있는 언어 문화자원이며, 분명한 지역 성을 나타내준다. 오늘날 지역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방언이 활용되 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언과 브랜드디자인 의 개념과 기능을 바탕으로 브랜드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을 통해 지 역방언 브랜드 사례 중 전라도방언을 활용한 브랜드 ’역서사소‘를 사례로 총 365명으로 설문을 시행하고, SPSS 29.0을 이용하여 분석 및 t-검정 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역방언을 활용한 디자인과 브랜드태도 간 관계에서, 지역방언을 활용했을 때 브랜 드태도의 영향이 높다는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방언 이 특정 지역이나 집단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변형으로 그 지역이나 집단 의 독특한 문화와 정체성이 반영되었으며,브랜드디자인에 지역방언을 활 용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브랜드와의 강한 정서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지를 탐구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언을 활용한 디자인상 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브랜드태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Today, as interest in the region increases, there are often cases where promotional phrases or local dialects are used among regional-related designs. The local dialect is a language and cultural resource of the region and indicates a clear regionality.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brand attitude based on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local dialect and brand design, a total of 365 people were surveyed using the Jeolla-do dialect among the examples of local dialects brand through good deeds, and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9.0, and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were deriv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that the influence of the brand attitude was high when the local dialect was u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using the local dialect and the brand attitude. This is a transformation of the language used in a specific region or group, reflecting the uniqu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region or group, and exploring whether consumers can form a strong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 brand by using the local dialect in brand design. This study is expected that the local dialect will be effectively used in brand design to form a strong emotional connection and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culture and regional base.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II. 이론적 배경
    1. 브랜드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및 요소
    2. 지역방언의 기능과 브랜드요소
    3. 브랜드 태도
    4. 감정반응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2.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및 함의
    1. 결론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부록>

저자
  • 김진아(조선대학교) | Kim Jin A (Chosun University)
  • 장재욱(조선대학교) | Chang Jae Wuk (Chosu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