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상패션쇼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SS24 ‘열약생휘(悦跃生辉)’ 가상 국제 패션위크를 사례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of Clothing Products in Virtual Fashion Show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8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S-O-R 모델을 기반으로 가상패션쇼 관련 의류 제 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의도의 영향 요인을 탐구하고 향후 가상패션쇼의 기획과 홍보, 의류 제품의 전시를 위한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시하 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S-O-R 모델을 기반 으로 사회적 영향, 의류 특징, 브랜드 명성, 의류 품질, 촉진 조건, 전시 효과, 인지와 감정 변수를 활용하여 가상패션쇼 의류 제품에 대한 소비 자 구매의도 모델을 구축했다. 정량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모델 을 검증하고 소비자 구매의도의 영향 요인을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 면 사회적 영향, 의류 특징, 브랜드 명성, 의류 품질, 촉진 요소, 전시 효 과가 소비자 인지와 감정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 인지와 감정은 가상패션쇼 의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for clothing products related to virtual fashion shows, based on the S-O-R model, providing theoretical support and practical guidance for the organization, promotion, and display of clothing products in future virtual fashion show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study introduces variables such as social influence, clothing characteristics, brand reputation, clothing quality, facilitating factors, display effect, and cognitive-emotional variables into the S-O-R model to construct a model that influence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for clothing products in virtual fashion shows. Through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this theoretical model in the context of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for virtual fashion shows and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se inten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positive social influence, clothing characteristics, brand reputation, clothing quality, facilitating factors, and display effec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onsumers' cognition and emotions. Positive cognition and emotions, in turn, enha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for clothing products showcased in virtual fashion show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패션쇼에 표현된 가상 기술의 응용
    2. S-O-R 모델
III. 연구방법
    1.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 설문조사의 설계 및 조사과정
IV. 실증분석
    1.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신뢰도 분석
    3. 탐색적 요인분석
    4. 확인적 요인분석
    5. 상관관계 분석
    6.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V. 논의
    1. 학술적 의의
    2.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Ⅵ. 연구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서길(세종대학교) | QI XU (SEJ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