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발생 시, 건물은 작게는 손상에서 크게는 붕괴까지 이어지므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지진의 위험성에 대비하여 건물의 내진성능평가가 필요하다. 현재 내진성능평가 기법의 경우 개별 건물을 대상으로 하기에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역규모의 건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진성능평가 기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RC 주거형 건물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고 보강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비선형 Shear Spring을 가진 단자유도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조물의 비선형 응답을 모사 하기 위한 비선형 Shear Spring은 T-SR-μ를 매개변수로 정의된다. 해당모델에 100개의 PEER 지진을 적용하여, 최대층간변위비 응답 으로 건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기법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세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두 모델 모두 건물의 내진성 능을 같은 수준으로 판단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제안된 방식이 실제 건물의 내진성능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During earthquakes, buildings can suffer damage ranging from minor to severe, potentially leading to collapses and resulting in loss of life and property. To mitigate these risks, it is essential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s. Current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techniques require significant time as they focus on individual building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evaluation techniques that can be applied on a regional scale. This study proposes a single-degree-of-freedom model with a nonlinear shear spring to assess the seismic performance and plan the reinforcement of reinforced concrete residential buildings. The nonlinear shear spring, defined by the T-SR-μ parameter, is used to simulate the nonlinear response of the structure. By applying 100-PEER ground motions to this model,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s was evaluated based on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ratio respons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was confirmed by comparing it with detailed models, where both models assessed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s at similar levels. Th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curately predict the seismic performance of actual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