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Insect in Insect Hotels according to Vegetation Types and Materials: A Case Study in the Garden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KCI 등재

식생유형과 재료에 따른 곤충호텔의 곤충상 분석: 국립수목원 전시원을 사례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9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Insect hotels are artificial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habitats for insects, commonly placed in gardens, vegetable fields, and other outdoor areas. However, the effects of vegetation types, materials, and installation methods on insect inflow remain insufficiently verified. Additionally, there is a lack of domestic research on insect hotels, despite regional differences in insect types and growth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sect inflow based on vegetation types and materials at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o suggest standards for effective insect hotel install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The research area was divided into three vegetation types: grassland, coniferous forest, and broadleaf forest. Insect hotels made from two materials (oak and pine) were established in each vegetation typ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two years (2022-2023), with weekly collections of insects visiting the hotels from April to September, totaling 48 collections. A total of 3,057 individuals from 129 species, 46 families, and 9 orders were collected from the insect hotels. In 2022, 1,750 individuals from 85 species, 34 families, and 7 orders were collected, while in 2023, 1,307 individuals from 77 species, 35 families, and 8 orders were recorded. The number of insects introduced in the first year was approximately 1.3 times higher than in the second year, and the composition of insects changed over time due to the decay of materials. In terms of vegetation types, the highest number of insects was consistently found in broadleaf forests and the lowest in coniferous forests, regardless of the observation period. Additionally, when categorized by material, oak attracted more insects than pine. For oak, the annual variation in the number of introduced insects was minimal. In contrast, the number of insects associated with pine decreased to about 2.3 times fewer in the second year compared to the first year. Correlation and cluster analyses revealed that insect inflow was more influenced by materials than by vegetation types. When comparing only vegetation types, the similarity between broadleaf and coniferous forests was higher than between grasslands. In conclusion, to enhance biodiversity through insect hotels,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them in grasslands or broadleaf forests using oak. If pine is used, it should be replaced annually. However, since host specificity in insects that prefer certain materials has been confirmed,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could also be considered as an approach. Based on our research findings, we plan to further develop a practical insect hotel model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garden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지 개황
    조사방법
    자료분석
결과 및 고찰
    곤충의 과(Family) 구성
    식생유형과 재료에 따른 곤충의 유입 특성
    주요 곤충의 유입 특성 비교
    곤충호텔의 곤충 군집 특성
    곤충호텔 관리방안 제시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Soo Ho Lee(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 이수호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 Seon Mi Lim(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 임선미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 Yun Ha Kim(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 김윤하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 Ji Yeon Sim(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 심지연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 Young Jun Bae(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 배영준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 Hyun-Do Jang(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 장현도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 Young Jae Kim(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 김영재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 Hyun Jin Kim(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 김현진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