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Underdeveloped Embryos and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Trillium tschonoskii Seeds, a Native Species of Ulleung Island KCI 등재

울릉도 자생식물 큰연영초 종자의 미숙배와 형태생리적 휴면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9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큰연영초는 백합과의 다년생 식물이며, 정원용으로 큰 관상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는 희귀식물(EN 범주) 로 알려져 있다. 자연 환경에서 종자 휴면 타파의 phenology를 조사하였다. 큰연영초는 초기 종자길이의 10% 미만인 미성숙배 를 가지고 있었다. 미성숙배는 2013년 7월 하순부터 2014년 6월 하순까지 거의 자라지 않았다. 그러나 2014년 7월 초순부 터 8월 중순까지 빠르게 신장하였다. 종자는 8월 1일부터 발아 하기 시작했고, 대부분의 종자는 2014년 8월 하순에 발아했다. 따라서 종자가 탈리 된 후 발아하는 데 약 1년이 걸렸다. 뿌리는 두 번째 가을 동안에 발달했고, 두 번째 겨울철 저온기간이 지난 후, 2015년 봄에 유묘가 출현하였다. 따라서 자연 환경에서 휴 면이 깨지고 유묘가 출현하는 데 약 2년이 걸렸다. 기내의 배양 온도, 저온 처리 및 GA3 처리 실험에서, 종자는 8주 동안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큰연영초의 종자는 유묘을 생산하기 위해 ‘저온(첫 번째 생리적 휴면을 타파) → 고온(미성숙배의 신 장 및 발아) → 저온(배축휴면을 타파)’의 순차적인 온도의 변화가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큰연영초 종자는 deep simple doubl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를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rillium tschonoskii Maxim, a perennial species of the Liliaceae family, possesses significant ornamental potential for its use in gardens but is classified as an endangered species (EN category) on the Korean Peninsula. We studied the phenology of a seed dormancy break in a natural environment. The seeds had underdeveloped embryos, measuring less than 10% of the size of fully matured seeds. From late July 2013 to late June 2014, embryo growth was minimal. However, rapid embryo growth occurred from early July to mid-August 2014. Germination began on August 1, with most seeds germinating by late August 2014, approximately one year after seed dispersal. Emerged radicles developed during the second autumn, and after experiencing a second low-temperature period in winter, seedlings emerged in spring 2015 from seeds with developed roots. Thus, the dormancy break and seedling emergence in the natural environment required about two years. Experimental treatments involving incubation temperature, cold stratification, and GA3 application failed to induce germination within 8 weeks. The seeds of T. tschonoskii required a sequence of cold conditions to break the first physiological dormancy, warm conditions for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and another cold period to break the epicotyl dorma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 tschonoskii seeds exhibit deep simple doubl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Seung Youn Lee(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Breeding, Graduate School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92, Korea, Department of Smart Horticultur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9, Korea) | 이승연 (국립안동대학교 대학원 원예육종학과, 국립안동대학교 스마트원예과학과) Corresponding author
  • Yong Ha Rhie(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mart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Department of Hort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 이용하 (강원대학교 스마트농업융합학과, 강원대학교 원예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