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장이 자생 바위솔 식물들의 휴면과 추대에 미치는 영향
자생 바위솔인 와송(Orostachys japonica), 영동바위솔(O. japonica from ‘Youngdong’), 포천바위솔(O. latiellipticus) 의 휴면과 추대에 미치는 일장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식물생 장상의 일장을 달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종류의 바위솔 들을 일장이 다른 식물생장상(86.7±8.7μmol·m-2·s-1 PPFD, 24±2℃)으로 옮기자 세 종류 모두 대부분의 일장에서 휴면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휴면은 얼마 지나지 않아 타파되기 시작 하였는데, 와송과 영동바위솔은 일장이 길수록 빨리 타파되었 고, 휴면타파에 걸리는 기간도 짧아졌다. 그러나 포천바위솔은 12시간 이하의 단일 조건에서는 휴면 타파가 보이지 않았다. 와송의 경우 16시간 일장에서는 휴면 없이 화서가 신장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영동바위솔은 16시간 일장에서 잠시 휴면 에 들어갔으나 곧 타파되었고, 이어서 추대가 이루어졌으나, 포 천바위솔은 어떤 일장에서도 추대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 로, 이 연구의 바위솔에서 관찰된 휴면은 자연 조건에서 보이는 휴면과는 성질이 다르며 식물생장상의 낮은 광도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로써 바위솔은 환경 변화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이며, 일장과 광도에 대한 반응은 바위 솔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ay length on dormancy and bolting in three Orostachys species: O. japonica A. Berger (Wasong), O. japonica from Youndong (Youngdongbawisol), and O. latiellipticus (Pocheonbawisol). The experiment involved varying day lengths during plant growth in a controlled growth chamber (86.7 ± 8.7 μmol·m-2·s-1 PPFD and 24°C ± 2°C). All three Orostachys species entered dormancy under day lengths ranging from 10 to 16 h. However, dormancy was quickly broken, with longer day lengths accelerating the process and shortening the dormancy period. In Wasong, bolting occurred without dormancy under a 16h day length. Youngdongbawisol experienced brief dormancy under a 16 h day length but soon broke dormancy, resulting in inflorescence elongation. In contrast, Pocheonbawisol did not exhibit bolting under any day length. The dormancy observed in this study differed from natural dormancy, likely due to the low light intensity in the growth chamber.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Orostachys plants are highly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with responses to photoperiod and light intensity varying by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