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뇌경색 환자의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영상에서 마스크 영상의 획득 시점 변화에 따른 유용성 평가
급성 뇌경색 진단에는 환자에 따라 관류강조영상과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영상이 동시에 촬영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MRI 조영제인 가돌리늄의 T1 단축 효과가 발생하여 동맥과 정맥의 신호 겹침이 빈번히 발생한다. 특 히, 3D T1 경사에코 기법을 사용한 CE-MRA에서 첫 번째 조영제 주입(PWI) 후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T1 감소 효과로 인해 혈관의 정확한 묘사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스크 영상의 획득 시점을 조정하여 새로운 방법(B)을 제안하였다. 기존 방법(A)에서는 관류강조영상 이전에 마스크 영상을 획득했지 만, 새로운 방법(B)에서는 관류강조영상 이후 마스크 영상을 획득하여 동맥과 정맥 신호 겹침을 효과적으로 줄였다. 연구 결과, S상 정맥동과 내경정맥에서 새로운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대조대잡음비를 보였으며, 신호 겹침이 줄어들어 정맥 신호의 억제 효과가 극대화되었다(p<0.05). 본 연구의 새로운 방법은 기술적으로 추가적 인 복잡성 없이 효율적으로 정맥 신호를 제거하여 CE-MRA 영상의 진단적 정확성을 향상하는 유용한 기법으로 평 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본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최적의 방안 모색을 할 필요가 있다.
In the diagnosis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perfusion-weighted imaging (PWI) and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CE-MRA) are often performed simultaneously,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During this process, the T1-shortening effect of the gadolinium-based MRI contrast agent frequently causes signal overlap between arteries and veins. This challenge is especially evident in CE-MRA using the 3D T1 gradient echo sequence, where T1 effects continuously induced after the initial contrast injection compromise the precise depiction of vascular structures.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a novel approach (Method B) that involves adjusting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mask images. In the conventional approach (Method A), the mask image is obtained before acquiring PWI. By contrast, Method B acquires the mask image following PWI, effectively reducing arterial-venous signal overlap.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superior sagittal sinus and internal jugular vein, Method B achieved a significantly lower contrast-to-noise ratio (CNR) than Method A, indicating reduced signal overlap and enhanced venous signal suppression (p < 0.05). This new method offers an efficient technique for suppressing venous signals, enhancing the diagnostic accuracy of CE-MRA without additional technical complexity. Future studies should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across diverse patient populations and explore optimal conditions for its clinical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