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극 소축척 지도 제작을 위한 좌표 체계 및 도엽 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 KCI 등재

Map Indices and Coordinate Systems for Small Scale Antarctic Mpa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6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남극 연구 활동 및 내륙 기지 건설을 위해서는 대축척 지도뿐만 아니라 넓은 지역을 파악할 수 있는 소축척 지도 역시 필요하며, 우리나라는 국토위성(차세대 중형위성) 및 아리랑 위성을 포함한 국내외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소축척 지도를 제작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남극 소축척 지도 제작을 위해 사전에 결정되어야 할 소축척 지도의 축척 선정, 축척별 소축척 지도의 투영법 및 좌표 체계 설정, 도엽의 구성 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외 사례 및 기존 구축된 공간 정보와의 축척 위계를 고려하여 남극 소축척 지도 제작에 적합한 축척을 1:600만, 1:100만, 1:25만 축척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세 가지 축척 지도에 대해 SCAR 좌표계와 IMW 분할 체계를 바탕으로 투영법 및 좌표 체계를 제시하였고 투영법에 따른 축척계수를 계산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투영법의 정확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도엽 구성 방법을 제시하고 각 축척에 해당하는 지도의 레이아웃을 제작하여 향후 실제 남극 소축척 지도 제작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activities around the Antarctic base and construct an inland Antarctic base, not only large-scale maps but also small-scale maps are necessary. Korea plans to produce small-scale maps using domestic and foreign satellite images such as next-generation mid-size satellites and Arirang satellit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cales of maps, projection and coordinate systems and map indices for generation of small-scale maps in the Antarctic region. Considering overseas cases and the scale hierarchy, 1:6 million, 1:1 million, and 1:25 thousand are set as the appropriate scales. Projection and coordinate systems are proposed based on the SCAR (Scientific Committee on Antarctic Research) coordinate system and IMW(International Map of the World) division systems for the three scale maps, and the scale factors were calculated to present the accuracy of the projec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n, methods for map indices were presented and layouts for each scales were produced so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ctual small-scale Antarctic maps in the future.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해외 사례 조사
    1. 남극 전도 사례
    2. 도엽 분할 체계를 갖춘 남극 소축척 지도사례
    3. IMW 체계
III. 축척과 지도 크기 결정
IV. 남극 전도
    1. 좌표계 및 레이아웃
    2. 축척계수
V. 1:100만 소축척 지도
    1. 도엽 분할 체계
    2. 투영법 및 좌표 체계
    3. 도엽 크기 및 레이아웃
    4. 축척계수
VI. 1:25만 소축척 지도
    1. 도엽 체계와 좌표 체계
    2. 지도 정치와 레이아웃
VII.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정재준(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Jae-joon Jeong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