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 Hee-hwan's Hangul Calligraphy through the Forming Elements
평보 서희환은 한글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판본 고체형식에 서 미학성을 발견하고 한자 서예의 원리와 자신의 창작 경험을 바탕으로 고풍스러우면서도 질박한, 이른바 ‘평보체’를 이루었 다. 본 논문에서 평보 서희환의 한글서예를 조형예술의 보편적 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를 적용하여 서희환 한글서예의 성취와 한계를 고찰하였다. 본론에서는 조형예술에 속하는 서예를 한글과 한자의 구조와 서예 양식 등을 조형예술의 원리에 적용하여 한글서예의 장점 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한글과 한자의 구조적 차이로 인하여 서희환이 모범으로 적용하려고 했던 한자서예 양식을 한글서예 에 적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는 부분이 있음을 밝혔다. 서희환 역시 서예의 유일한 조형언어인 필획(筆劃)만으로는 스스로 이상 으로 삼은 한글서예를 완성하기 어려움을 인지하고, 유동(流動) 하는 형태적 공간의 조형을 택하지 않고, 필획의 질감을 위주로 한 정지된 공간 조형을 구축하였다. 그래서인지 서희환은 “절제 된 단순성과 소박한 무욕 내지는 순수성을 추구하여 획이나 필 력의 개념도 힘의 논리가 아닌 질김의 논리로 이해하려고 하였 다. 그래서 오히려 한글서예의 독창성을 이루었을 소지가 있다. 서희환의 한글서예는 결국 線的서예에서 點과 面의 조합으 로 구축한 ‘고정적’인 성질로 진행되었다. 또 서희환이 추구한 절제된 단순성과 소박한 무욕, 질김, 수졸의 천진이나 질박의 원시성, 무념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거친 질감을 내는, 금 석기 있는 선질과 평면적 구조로 진행되었다고 여겨진다.
Pyeongbo Seo Hee-hwan discovered aesthetics in the solid form of the edi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rototype of Hangul, and based on the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 calligraphy and his creative experience, he formed an antique and vulgar so-called "flat body." In this paper,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Seo Hee-hwan's Hangul calligraphy were considered by applying universal formative elements and formative principles to the plain newspaper Seo Hee-hwan's Hangul calligraphy. The merits and limitations of Hangul calligraphy were examined in the main text by applying the structure and calligraphy style of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to the principles of the formative art. It was revealed that due to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there is a difficulty in applying the Chinese character calligraphy style that Seo Hee-hwan tried to apply as an example to Hangul calligraphy. Seo Hee-hwan also recognized the difficulty of completing Hangul calligraphy that he idealized himself with only the 筆line, the only formative language of calligraphy, and built a space format focusing on the texture of the stroke. Perhaps that is why Seo Hee-hwan said, "I tri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troke or writing power as a logic of toughness, not a logic of power, in pursuit of restrained simplicity, simple ignorance or purity. Rather, he would have achieved the originality of Hangul calligraphy. In the end, Seo Hee-hwan's calligraphy in Korean progressed to a 'fixed' property built by a combination of 點and cotton in linear calligraphy.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Seo Hee-hwan's understated simplicity, simple indifference, toughness, the primitiveness of the nature or toughness of the sorority, and the flat surface structure with a rough texture to reach the state of mindless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