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취약계층의 노후준비 결정요인 분석 -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Retirement Preparedness among Vulnerable Groups in Korea: Focusing on Multicultural Famil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6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금융교육연구 (Journal of Financial Education)
한국금융교육학회 (Korea Association of Financial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2021년 다문화가정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이주민들의 노후 준비 현황을 분 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다문화가정 실태조사에 참여한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14,185명으로, 이들의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항 목으로는 성별, 소득 수준, 한국어 능력, 자산관리 주체, 체류 자격 등을 포함하여 이주민의 노후 대비 상태를 다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민들은 주 소득원으로 국민연금 (50.1%)과 저축성 보험(32.4%)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보조 소득원으로 사적 연금 (10.1%)과 퇴직금(8.3%)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노후 준비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체류 안정성이 높은 그룹 (영주권자, 재외동포)에서 노후 준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 능력이 높은 이주민일수 록 노후 대비가 잘 이루어지는 반면, 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저소득층 및 방문 취업자의 경우 노후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주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경제적 기회가 제한되어 있어 노후 대비가 부족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주민들이 직면한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반영하여 이들의 노후 준비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tirement􀀁 preparedness􀀁 of􀀁 immigrants􀀁 using􀀁 data􀀁 from􀀁 the􀀁 2021􀀁 Multicultural􀀁 Family􀀁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Korea.􀀁 Targeting􀀁 14,185􀀁 participants,􀀁 including􀀁 marriage􀀁 immigrants􀀁 and􀀁 naturalized􀀁 citizens,􀀁 it􀀁 investigates􀀁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planning,􀀁 such􀀁 as􀀁 gender,􀀁 income􀀁 level,􀀁 Korean􀀁 proficiency,􀀁 asset􀀁 management􀀁 roles,􀀁 and􀀁 residency􀀁 status. The􀀁 findings􀀁 show􀀁 that􀀁 immigrants􀀁 primarily􀀁 depend􀀁 on􀀁 the􀀁 National􀀁 Pension􀀁 (50.1%)􀀁 and􀀁 savings/insurance􀀁 products􀀁 (32.4%)􀀁 for􀀁 retirement,􀀁 with􀀁 additional􀀁 sources􀀁 like􀀁 private􀀁 pensions􀀁 (10.1%)􀀁 and􀀁 severance􀀁 pay􀀁 (8.3%).􀀁 Higher􀀁 income􀀁 levels􀀁 and􀀁 stable􀀁 residency􀀁 statuses,􀀁 such􀀁 as􀀁 permanent􀀁 residency,􀀁 correlate􀀁 with􀀁 better􀀁 retirement􀀁 preparedness.􀀁 Proficiency􀀁 in􀀁 Korean􀀁 also􀀁 contributes􀀁 to􀀁 better􀀁 planning,􀀁 while􀀁 low-income􀀁 groups􀀁 and􀀁 temporary􀀁 workers􀀁 lag􀀁 behind.􀀁 Immigrant􀀁 women,􀀁 in􀀁 particular,􀀁 face􀀁 greater􀀁 challenges􀀁 in􀀁 retirement􀀁 preparation􀀁 due􀀁 to􀀁 limited􀀁 economic􀀁 opportunities.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economic􀀁 challenges􀀁 of􀀁 immigrants􀀁 and􀀁 suggests􀀁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ir􀀁 retirement􀀁 security.

목차
요약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다문화가정 노후 준비 현황
    2. 다문화가정 이민자의 인적 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병일(강원대학교 조교수) | Choi Byoung-I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