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악기 이천리층의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를 통한 퇴적시기와 기원지 연구 KCI 등재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of the Cretaceous Icheonri Formation based on U-Pb Dating of Detrital Zirc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7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경상분지 동남부인 부산 기장군에 분포하는 이천리층은 퇴적시기와 층서 대비가 이루어지지 않은 백악기 퇴적 층으로 최근 방산충 화석을 포함하는 쳐트역이 보고되어 기원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천리 층의 퇴적시기와 기원지를 규명하고, 후기 백악기 경상분지의 고지리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이천리층 사암 내 쇄설 성 저어콘을 이용해 U -Pb 연대를 분석하였다. 이천리층은 선캄브리아시대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이르는 넓은 연령 분포 를 보이며, 백악기, 페름기, 고원생대 연령이 우세하다. 약 95 Ma의 최소 가중평균연령을 통해 이천리층의 최대 퇴적시 기는 후기 백악기 초 세노마눔절(Cenomanian)로 제한된다. 외래기원의 방산충 함유 쳐트역과 함께 한반도 내 인접 지역에서는 분포하지 않는 중기 페름기 저어콘의 높은 함량은 이천리층의 퇴적 동안 남서 일본 지역으로부터 퇴적물이 유입되었음을 시사한다. 연대 분포를 비교한 결과, 이천리층의 주된 퇴적물 공급지는 영남육괴와 미노-탐바 쥐라기 복 합체(Mino-Tamba Jurassic accretionary complex)로 해석되며 퇴적물 공급 과정에서 페름기 연령을 가지는 암체 (Maizuru Belt)와의 혼합이 중기 페름기 저어콘의 높은 산출량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차원척도법 (multidimensional scaling)을 이용한 통계적 유사도 분석 결과도 이와 같은 해석을 뒷받침한다.

The Icheonri Formation, situated in the southeastern Gyeongsang Basin in Gijang-gun, Busan, is a Cretaceous sedimentary Formation of unresolved depositional age and stratigraphic correlation. Chert clasts containing radiolarian fossil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ir provenanc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of the Icheonri Formation 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paleogeography of the Lat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by analyzing the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U-Pb zircon dating revealed dominant age populations from the Cretaceous, Permian, and Paleoproterozoic periods, with a maximum depositional age of 95 Ma, indicating deposition during the early Cenomanian stage. The presence of mid-Permian zircons and radiolarian-bearing chert clasts suggests sediment input from southwestern Japan. The main sedimentary sources were interpreted to be the Yeongnam Massif and the Mino-Tamba Jurassic accretionary complexes, with additional contributions from the Permian Maizuru Belt, a finding also support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 론
2. 지질개요
3. 시료 및 연구방법
4.연구 결과
    4.1. 이천리층 사암시료에 대한 암석기재
    4.2. 이천리층 내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대
5. 토 의
    5.1. 이천리층의 최대 퇴적시기
    5.2. 유천층군 이천리층의 시층서적 의미
    5.3. 이천리층의 기원지
6.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가연(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 Ga Yeon K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임현수(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 Hyoun Soo L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채용운(부경대학교 지질환경연구소, 48513,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 Yong-Un Chae (Institute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 주영지(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전공, 48513,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 Young Ji Joo (Major of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 최태진(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2817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태성탑연로 250) | Taejin Ch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8173,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