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Healing Agriculture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Korean Association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초록

본 연구는 농업과 복지연계를 통해 건강회복・유지・증진으로 사회적비용을 절감함과 동 시에, 농촌의 새로운 활로 및 소득원 창출을 통한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 하기 위해 치유농업 정책 및 사업이 추진 되고, 2020년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하 ‘치유농업법’)이 제정되어 치유농업이 법제화된 5년 차 즈음에 그동안의 한국 치유농업의 추진 현황을 분석하고 현업에 종사하는 치유농장의 입장에서 한국 치유 농업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한국 치유농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총설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발행된 논문, 기사, 보고서 및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치유농업사 교재 및 자료와 제1차 치유농 업 연구개발 및 육성종합계획(’22∼’26) 를 참조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치유농장’, ‘원예’, ‘동물을 활용한 치유농장’, ‘치유농업의 현황’, ‘치유농업의 한계’, ‘치유농업의 문제점’, ‘치유농업의 발전방향’, 농사백과, 현장정보, 농촌문화 데이터를 검색 할 수 있는 ‘농사로’ 에서 하였다. 논문 검색 범위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행된 논문 8개와 기사 8개 학술지 3개를 대상으로 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검색 방법으로는 국가과학기술성 보 센터(NDSL),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KERIS), 한국학술정보서비스(KISS), 농사로, 농촌진흥청,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 6곳과 인터넷 언론매체에서 치유농업과 관련 된 자료만을 선택하여 검색 하였다. 한국 치유농업의 발전을 위한 제언으로 1. 치유농업 중앙 컨트롤타워의 필요하다. 2. 치유농업 정책의 통합이 필요하다. 3. 치유농장의 수익성 확보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4. 사회적농업과 연계가 필요하다. 5. 치유농업 시설에 관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 6. 치 유농업사 활용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7. 치유농업 효과성 입증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Ⅰ. 서 론
    1. 치유농업의 정의
    2. 치유농업의 필요성 및 추진배경
    3.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1. 한국 치유농업 추진현황
    2. 한국 치유농업의 한계와 문제점
Ⅳ. 결론- 치유농업의 발전방향
    1. 우수치유농업시설 품질인증 농가수익성 확보방안 마련
    2. 치유농업 중앙 컨트롤타워와 정책통합
    3.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효과성 입증방안 마련
    4. 치유농업 시설에 관한 특별법 개정
    5. 치유농업사 활용방안 마련
Ⅴ제언
참고문헌
저자
  • 손영일(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동물매개심리치료학과) | Young-Il Son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강대영(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동물매개심리치료학과) | Dae-Young Kang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이명희(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동물매개심리치료학과) | Myeong-Hee Lee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