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규명을 위하여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 으로 2020년 3월2일부터 3월 31일까지 설문 조사한 449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 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함의를 기술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ectiveness on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It analyzed 449 child care teachers surveyed from March 2 to March 31, 2020 at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role performance. Secondly, resilience has been sh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s. Thirdly, the teacher effectiveness of childcare teacher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ole performance.. Fourth, the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ectiveness and role-playing has been sh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implications were descri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