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on childcare 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4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전국사회복지연구 (National Social Welfare Research)
전국사회복지학회 (National Social Welfare Academ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보육효능감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에서 회복탄력성의 인과관계 구조를 연구모형으로 설정 하고, 증적으로 살펴봄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의 관계 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보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 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Based on the theory of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on childcare efficacy, and to suggest a direction to raise infants and toddlers well by promoting social support and resili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childcare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based on proven results and verification of the causal structure of resilience in childcare efficacy.nce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2. 연구방법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 연구결과
Ⅲ. 결 론
    1. 함의
    2.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이지은(한국비전연구소 교수)
  • 한희숙(KC대학교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