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아동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직업소명의식의 매개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job environment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on the quality of child welfare services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pany nam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5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문화복지콘텐츠연구 (The journal of Korean culture & welfare contents)
한국문화복지콘텐츠학회 (Korean Cultural Welfare Content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아동복지서비스 질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런 관계에서 직업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수도권과 지방의 7개 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아 동센터에서 근무하는 법정종사자인 시설장과 생활복지사, 파견교사인 아동복지 교사와 돌봄교사 511명이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구조모형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인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 경제적 환경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인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 경제적 환경의 순으로 직업 소명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 소명의식인 일을 통한 목적지향, 이타 행동, 일 가치관 순으로 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환경이 직업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로 인하여 아동복지서비스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 한 실천적 제언과 이론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on the quality of child welfare servic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vocation in this relationship.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ork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economic environment, had a positive (+) effec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economic environment, which are job environ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e of vo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order of destination orientation, altruistic behavior, and work values through work, which is a sense of vocational calling. Fourth, the job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child welfare services due to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voc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theore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고찰
    1.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개념
    2. 직무환경의 개념
    3. 아동복지서비스 질의 개념
    4. 직업 소명의식의 개념
    5.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 도구
    4.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3. 연구모형의 검증
Ⅴ.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연구함의
    3.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광심(칼빈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Kwang-Sim Lee
  • 이외승(성산효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교 교수) | Oe-Seung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