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보육서비스 질 간의 관계에서 권리존중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ight Respec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4,400원
한국비전연구 (Korean Vision Reserch)
한국비전학회 (Korean Vision Academy)
초록

우리나라는 고도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가치 관의 변화로 인하여 맞벌이 가정의 증가는 물론 일·가정양립으로 인한 자녀양육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어린이 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권리존중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쳤고, 권리존중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변인의 하위영역 간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지혜와 청지기정신은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어린이집 원장 서번 트리더십의 지혜, 설득, 청지기정신은 권리존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이타적소명, 감정 적치유, 지혜, 청지기정신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권리존중의 근로환경권, 운영자율권, 운영참여권은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만족도의 상사만족도, 보수만족도, 동료만족도는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 쳤다.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서비스 질 사이에서 권리존중 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 서 번트리더십은 권리존중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권리존중과 직 무만족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In Korea, due to the improvement of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changes in values due to high economic growth, the problem of raising children due to work-family balance as well as the increase of dual-income families is being raised as a social issu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rough the structural model,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nursery dire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pect for rights and job satisfaction, and respect for righ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rvice qualit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areas of research variabl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wisdom and stewardship of the nursery director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the wisdom, persuasion, and stewardship of the nursery director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respect for rights, and the altruistic calling, emotional healing, wisdom, and stewardship of the nursery director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right to work environment, the right to autonomy,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in operation of respect for rights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satisfaction of supervisors, pay satisfaction, and colleague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service. It was verified that the respect for the righ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nursery director and the quality of service, so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nursery director in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service through the respect for the righ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spect for rights and job satisfaction acted as parameters in the effect of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nursery director on the quality of the nursery service.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서번트리더십
    2. 서비스 질
    3. 권리존중
    4. 직무만족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조사도구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상관관계 분석
    3. 기술통계 분석
    4. 연구모형 검증
    5. 연구가설 검증
Ⅴ. 결 론
    1. 결과요약
    2. 함의
    3.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박윤희(전국아동복지연구소 전임교수)
  • 김동진(칼빈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