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3차원 접합 구조를 가진 폴리염화비닐 기반 수전해용 바이폴라막: 높은 구조적⋅화학적 안정성과 향상된 물 분해 효율 KCI 등재

Polyvinyl Chloride-Based Bipolar Membrane with a Three-Dimensional Junction for Water Electrolysis: High Structural and Chemical Stability with Enhanced Water-Splitting Efficiency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8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용 폴리염화비닐을 개질하여 두 종류의 PVC 기반 이온교환용 고분자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개질된 두 이온교환 고분자를 활용한 전기방사 공정과 열 압착 공정을 거쳐 2차원 계면(2D-PVC-BPM)과 3차원 접합부 (3D-PVC-BPM)를 갖는 바이폴라막(BPM)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3D-PVC-BPM은 2D-PVC-BPM에 비해 우수한 물 분해 효율 및 안정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300 mA cm-2의 고전류 밀도에서 3D-PVC-BPM은 2D-PVC-BPM가 나타낸 전위보다 4.4 V 낮은 8.05 V의 막 전위를 나타냈다. 더욱이, PVC 주쇄가 가진 내화학성 덕분에 3D-PVC-BPM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높은 화 학적 안정성을 보였고, 이는 4 M H2SO4 및 4 M NaOH 용액에 28일간 침지한 후 관측된 질량 손실이 각각 2.8%와 2.1%에 그친 것을 통해 입증되었다. 끝으로, 3차원 접합부가 3D-PVC-BPM에 맞물림(interlocking) 효과와 넓은 계면면적을 제공해준 덕분에 3D-PVC-BPM의 인장 강도는 36 MPa를 초과했고 신장률 또한 약 50%에 이르는 등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폴리염화비닐을 개질하여 두 종류의 PVC 기반 이온교환용 고분자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개질된 두 이온교환 고분자를 활용한 전기방사 공정과 열 압착 공정을 거쳐 2차원 계면(2D-PVC-BPM)과 3차원 접합부 (3D-PVC-BPM)를 갖는 바이폴라막(BPM)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3D-PVC-BPM은 2D-PVC-BPM에 비해 우수한 물 분해 효율 및 안정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300 mA cm-2의 고전류 밀도에서 3D-PVC-BPM은 2D-PVC-BPM가 나타낸 전위보다 4.4 V 낮은 8.05 V의 막 전위를 나타냈다. 더욱이, PVC 주쇄가 가진 내화학성 덕분에 3D-PVC-BPM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높은 화 학적 안정성을 보였고, 이는 4 M H2SO4 및 4 M NaOH 용액에 28일간 침지한 후 관측된 질량 손실이 각각 2.8%와 2.1%에 그친 것을 통해 입증되었다. 끝으로, 3차원 접합부가 3D-PVC-BPM에 맞물림(interlocking) 효과와 넓은 계면면적을 제공해준 덕분에 3D-PVC-BPM의 인장 강도는 36 MPa를 초과했고 신장률 또한 약 50%에 이르는 등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냈다.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Experimental Section
    2.1. Materials
    2.2. Synthesis of modified polymer
    2.3. Membrane preparation
    2.4. Characterizations
3. Results and Discussion
    3.1. Chemical structure and morphology
    3.2. The ionic conductivity, water uptake, andswelling percentage
    3.3. Water-splitting performance
    3.4.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chemical resistance of the 3D-PVC-BPM
4. Conclusion
Declaration of Competing Interest
Acknowledgement
Reference
저자
  • 트란 민 호안(전북대학교 대학원 바이오나노융합공학과) | Hoan Minh Tran (Department of Bionanotechnology and Bioconvergence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Republic of Korea)
  • 래 탄 타이(전북대학교 대학원 바이오나노융합공학과) | Tan Tai Le (Department of Bionanotechnology and Bioconvergence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Republic of Korea)
  • 이재우(전북대학교 대학원 바이오나노융합공학과, 전북대학교 고분자나노공학과) | Jaewoo Lee (Department of Bionanotechnology and Bioconvergence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Republic of Korea, Department of Polymer-Nano Science and Techn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