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urbidity and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 and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integrity of consumer water tank
본 연구는 배수지에서 저수조를 포함한 대수용가의 수도꼭지에 이르는 구간에서 탁도와 잔류염소 농도의 시간적⋅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니터링은 배수지, 중블록 유입 지점, 대수용가 유입 지점, 저수조 유출 지점, 수도꼭지 등 5개 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유량, 잔류염소, 탁도, pH, 전기전도도, 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수돗물 이동 경로를 따라 잔류염소 농도는 점차 감소하고 탁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비업무시간대에는 수돗물 정체로 인한 수질 저하가 확인되었다. 또한, 저수조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계수를 산출한 결과, 시간에 따른 저수조 내부 건전성 저하와 수질 악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수돗물의 이동 거리, 사용 시간대, 유량 변화 및 공급 방식에 따라 수질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저수조에 의존하는 지역에서는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turbidity and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from reservoirs to taps, including storage tanks at large consumers. Monitoring was conducted at five points—reservoir, inlet point of the DMA(District Metered Area), inflow point for large consumer, tank outflow point, and tap—tracking flow rate, residual chlorine, turbidity, pH, conductivity, and temperature. The findings reveal a decreasing trend in residual chlorine and an increase in turbidity along the distribution path, with water quality deterioration observed during non-working hours due to water stagnation. Additionally, the calculation of reaction rate constant for assessing the storage tank's integrity confirmed a tendency toward quality deterioration over tim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ater quality can vary depending on distribution distance, usage patterns, and supply methods, emphasizing the need for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to ensure safe water delivery, especially in areas reliant on storage t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