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용단계를 고려한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주기 별 탄소배출량 산정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s of Asphalt Pavement including Use St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539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도로학회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초록

국제사회는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1997년 교토의정서, 2015년 파리협정, 2018년 IPCC ‘1.5℃ 특별보고서’ 채택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워 기후 문제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대한민국은 2020년 ‘2050 탄 소중립 선언 및 비전을 선포하였고, 2021년 탄소중립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이중 도로 건설도 환경영향평가의 대상으로 설정하여 인프라 시설물의 탄소중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2011년 국토교통부의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 외 구체적인 생애주기 분석 방법이 부재한 상황이며 기수행된 연구에서는 전과정이 아닌 특정 수명주기에 집중하였던 단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수명주기 중 사용단계는 시설물 이용, 유지관리, 에너지 및 용수 사용 등의 내용을 포함하며 2023년 세계 경제 포럼은 사용단계의 탄소배출량이 평균적으로 전체 탄소배출량의 70%를 차지한다고 발표하였 기 때문에 사용단계의 탄소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 표준 ISO 21930:2017의 전과정 평가 LCA(Life Cycle Assessment) 방법과 국토교통부의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따라 국내 탄소배출 계수를 기반으로 도로건설 전과정의 생애주기 구분을 하였고,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환경영향평가 방법의 보완에 기여하고자 한다.

저자
  • 최종윤(인하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석사과정) | Choi Jong yoon
  • 최문규(인하대학교 스마타시티공학과 박사과정) | Choi Moon Gyu
  • 강혁주(인하대학교 스마타시티공학과 박사과정) | Kang Hyuk Ju
  • 한승환(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Han Seung Hwan
  • 송기영(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Song Ki Yung
  • 문기훈(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수석연구원) | Moon Ki Hoon
  • 정진훈(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Jeong Jin 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