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의 진로 탐색을 돕는 가족 소통 코칭 프로그램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a Family Communication Coaching Program to Support Career Exploration among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7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 가정 자녀의 진로 탐색에 도움을 주는 가족 소통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청소년 자녀들이 부모의 지지와 정확한 자 기 이해로부터 진로 탐색을 하도록 돕는 10회기의 집단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부모가 원가족으로부터의 건강한 분화를 토대로 자녀를 개별화 존재로 인정 하도록 돕는 한부모 회기에 이어,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 탐색의 기초를 다 지는 자녀 회기를 구성하였으며, 상호 이해의 건강한 소통을 기반으로 자녀의 진로 형성을 돕는 한부모-자녀 회기가 이어지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긍정 심리학 기반 위에 가족치료의 자아 분화, GROW 코칭 모델, 그리고 비폭력대화법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두었다. 모든 회기는 한부모 가정이라는 환경적 어려움에 집중하기보다 현재의 자원을 긍정적으로 재해석해 성장과 발전을 꾀하도록 돕는 코칭적 접근과 질문들로 구성하였다. 이는 개인의 변화 촉진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으로서 한부모와 자녀가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연구로 유익할 것이며, 추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으로 이어져 바람직한 한부모 지원 프로그램으로의 개발 및 확장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arent-child communication coaching program to support career exploration for adolescent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A 10-session group coaching program was developed to support adolescent in their career exploration based on accurate self-understanding and parental support. The program begins with sessions for single parents to help them recognize their children as independent individuals through healthy psychological differentiation from their family of origin. This is followed by sessions for adolescents to build a foundation for career exploration based on self-awareness, and concludes with joint parent-child sessions that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support for the child’s career development. Grounded in Positive Psychology, the program incorporates theories such as Differentiation of Self, the GROW Model, and Non-Violent Communication(NVC). Sessions are designed to encourage positive reinterpretation of current resources, rather than emphasizing the challenges of being in a single-parent family. This program aims to foster individual growth and mutual understanding,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의 개념
    2. 가족 소통과 코칭
Ⅲ.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구성체계
    1. 코칭 프로그램 개발
    2. 코칭 프로그램 구성 체계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세원(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상담코칭학과 박사과정) | Kim Saewon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Counseling & Coaching, Yonsei University)
  • 김민지(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상담코칭학과 석사과정) | Kim Minji (Master’s Student, Department of Counseling & Coaching,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