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뷰티 종사자가 지각하는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KCI 등재

Effects of servicescape perceived by beauty workers on customer orient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7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뷰티종사자가 지각하는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지역 소재 뷰티 종사자 22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및 부스트레핑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 구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종사자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직무만족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뷰티 종사자의 서비스스케이프는 고객지향성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뷰티 종사자의 서비스스케이프는 경영성 과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뷰티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경영성과 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뷰티 종사자의 서비스스케이프와 경 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직무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icescape perceived by beauty workers on customer orient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7 beauty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bootstrapping techniques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scape of beauty work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scape of beauty work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scape of beauty work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beauty work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scape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beauty workers, job satisfaction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is intend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to efficiently improve the job environment.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모형 및 가설
    2.2. 연구 참여자 및 조사 기간
    2.3. 측정 도구
    2.4. 자료 처리 방법
3. 연구 결과 및 고찰
    3.1.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3.3. 측정 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3.4. 가설검증
    3.5. 매개효과 검증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조윤화(CJH뷰티연구소, 대표) | Yoon- Hwa Cho (CEO of CJH Beauty Research Institute)
  • 홍미라(한성대학교 뷰티디자인 매니지먼트학과, 교수) | Mi-Ra Hong (Department of Beauty Management Professor, Han S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