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을 적용한 백 스쿼트 시 단축성 구간을 전반부와 후반부 로 나누어 신체중심의 속도와 근전도 분석을 통하여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로 19세 이상의 성인 1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연령: .25.8±2.6 yr, 신장: 181.4±2.2 cm, 체중: 79.7±3.9 kg). 2가지 부하 방법(고정부하, 고정부하+가변부하)를 통하여 백 스쿼트 시 3차원 동작분 석과 하지 근전도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신체중심의 속도는 VRT가 CRT보다 빠른 속도가 나타났고, 후반부가 전반부보다 빠른 속도가 나타났다. 근전도 분석에서 대퇴직근은 CRT가 VRT보다 근활성도가 크게 나타났고, 전경골근은 CRT의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근활성도가 크게 나타났지만, VRT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고정부하의 약점을 가변부하를 통하여 효율적인 운동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stant and variable resistance on the sticking point of the back squat by dividing the concentric phase into early and late phase of the back squat and analyzing the velocity of COG and EMG. Fifteen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age: 25.8±2.6 yr, height: 181.4±2.2 cm, weight: 79.7±3.9 kg). Data were collected using 3D motion analysis and lower limb EMG during the back squat using two resistance methods(constant and constant combined variable resistanc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 velocity of COG showed that VRT was faster than CRT, and late phase was faster than the early phase. In EMG analysis, the rectus femoris muscle was significantly more active in CRT than in VRT, and tibialis anterior muscle was significantly more active in early phase of CRT than in late phase of VR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V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able resistance can be used to efficiently exercise the weaknesses of constant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