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등학교 『금융과 경제생활』 교과서 분석과 시사점 고찰

An Analysis of the High School Textbook 『Finance and Economic Life』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24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금융교육연구 (Journal of Financial Education)
한국금융교육학회 (Korea Association of Financial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신설된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인 『금융과 경제생 활』 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성취기준 반영 여부와 실천 중심 금융교육 구현 정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발행된 4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단원 구성, 학습 목표 제시 방식, 실생활 연계성, 디지털 금융 환경 반영, 보충 및 심화 학습 요소, 참여 형 활동 설계 등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는 교육과 정 성취기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었으며, 소비·저축·투자·신용·노후 설계 등 실생활 개념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디지털 금융 리터러시, 금융 윤리, 사회적 소비 등 다양한 주제 가 포함되어 있었고, 교과서별로 교수·학습 설계 방식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생활관련 금융교육의 방향성과 교과서 개발 및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 실 천적 금융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elective􀀁 subject􀀁 textbook,􀀁 Finance􀀁 and􀀁 Economic􀀁 Life,􀀁 newly􀀁 introduced􀀁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research􀀁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textbooks􀀁 reflect􀀁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implement􀀁 practice-oriented􀀁 finan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four􀀁 textbooks􀀁 published􀀁 in􀀁 2024􀀁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terms􀀁 of􀀁 unit􀀁 composition,􀀁 the􀀁 presentation􀀁 of􀀁 learning􀀁 objectives,􀀁 real-life􀀁 relevance,􀀁 incorporation􀀁 of􀀁 the􀀁 digital􀀁 financial􀀁 environment,􀀁 inclusion􀀁 of􀀁 supplementary􀀁 and􀀁 advanced􀀁 learning􀀁 elements,􀀁 and􀀁 the􀀁 design􀀁 of􀀁 participatory􀀁 learning􀀁 activit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most􀀁 textbooks􀀁 faithfully􀀁 reflect􀀁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re􀀁 structured􀀁 around􀀁 practical􀀁 financial􀀁 concepts􀀁 such􀀁 as􀀁 consumption,􀀁 saving,􀀁 investment,􀀁 credit,􀀁 and􀀁 retirement􀀁 planning.􀀁 Additionally,􀀁 a􀀁 wide􀀁 range􀀁 of􀀁 topics—including􀀁 digital􀀁 financial􀀁 literacy,􀀁 financial􀀁 ethics,􀀁 and􀀁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are􀀁 covered,􀀁 although􀀁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design􀀁 across􀀁 the􀀁 textbook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real-life􀀁 financial􀀁 education,􀀁 textbook􀀁 development,􀀁 and􀀁 lesson􀀁 planning,􀀁 and􀀁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aimed􀀁 at􀀁 enhancing􀀁 practical􀀁 financial􀀁 competencies.

목차
초록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III. 금융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분석
    1.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VI. 금융과 경제생활 교과서 내용 분석
    1. 교과서별 구성 체계 분석
    2. 단원별 교과서 내용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병일(강원대학교 사회교육과 조교수) | Choi Byoung_Il (Professor, Dep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