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불화화합물은 소수성, 소유성, 내열성의 우수한 물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활용되어 왔으나, 환경 내 잔류성과 생체 독성으로 인해 음용수를 통한 인체 노출이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용수 내 과불화화합물 규제의 국제적 규제 동향을 분석하고, 규제 설정 원리와 과학적 배경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먼저 미국, 유럽연합 등 주요 국가의 음용수 내 과불화화합물 규제 현황을 비교하고, 각국이 채택한 규제 대상 물질, 설정 농도, 그리고 기저 규제 철학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독성 및 위해성 기반 과학적 규제 체계를 근거로, 과불화화합물의 독성참고치(RfD) 및 발암계수(CSF)가 어떻게 도출되고 규제 기준으로 변환되는지 단계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개별 과불화화합물의 위해성을 넘어서, 혼합된 과불화화합물의 누적 위해성(HI) 산정 방식의 과학적 배경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국제적 규제 진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3종 과불화화합물만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되어 있을 뿐, 인체 위해성에 기반한 법적 수질기준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현재의 국내 감시체계에서는 다종 과불화화합물의 혼합 노출로 인한 누적 위해성을 평가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제적인 규제 동향과 과학적 기준 설정 원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국가의 모범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과불화화합물 음용수 규제 체계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FAS have been widely used across various industries due to their exception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hydrophobicity, lipophobicity, and thermal stability. However, their environmental persistence and bioaccumulative toxicity have raised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s, particularly through exposure via drinking wat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ternational regulatory trends regarding PFAS in drinking water and to examine the scientific basis underlying regulatory standard-setting. A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on how key jurisdictions—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regulate PFAS, focusing on the selected substances, permissible limits, and regulatory rationale. In particular, the science-based regulatory framework of the United States—grounded in toxicological and health risk assessments—is examined in detail, including how reference values such as the RfD and CSF are derived and applied in setting enforceable drinking water standard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scientific rationale behind the HI approach, which addresses the cumulative risks associated with combined PFAS exposure. Despite these international advancements, South Korea has designated only three PFAS as monitoring parameters, without establishing legally binding, health-based standards. Furthermore, the current monitoring framework has structural limitations in assessing cumulative risks arising from combined exposure to multiple PFAS. To address these gaps,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regulatory trends and the scientific principles underpinning standard-setting practices. Drawing on exemplary cases from leading countries, it offers insight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science-based PFAS regulatory framework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