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부산연안에 위치한 9개소의 백사장(해수욕장)을 대상으로 해양수산부 연안침식 실태조사에서 조사된 평균해빈 폭, 평균단면적, 전빈기울기 등의 현장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장기 해안선 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산 연안 인근에 위치한 장기 해양파랑 관측자료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1) 2009년부터 2023년까지 15년간의 해빈 관측자료로부터 평균해빈폭의 평균값이 큰 해빈 의 순서대로 나열하면 해운대 60.18 m, 송도 57.82 m, 송정 49.56 m, 광안리 48.45 m의 순이었다. (2) 해빈의 전빈기울기 평균값이 큰 순서대 로 살펴보면 감지 13.80°, 중리 8.54°, 송도 7.87°의 순이었다. 해빈의 전빈기울기가 클수록 연안침식에 의해 평균해빈폭 및 단면적이 작게 나타났다. (3) 외해에서 유입되는 파랑에너지는 천해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약 50% 정도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였다. 평균 해빈폭의 변화 는 외해 해양파랑의 월별 총에너지 변동과 동일한 시점에 변화하였다. 해양파랑 총에너지 값이 큰 경우에는 해빈의 폭이 줄어들었고 해 양파랑 총에너지가 작게 내습하는 시점(2015년, 2016년, 2021년)에는 해빈폭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long-term shorelin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9 sandy beaches located along the Busan coast by utilizing field observation data from the Coastal Erosion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study examines key parameters such as average beach width, average cross-sectional area, and overall beach slope.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long-term ocean wave observations near the Busan coast and shoreline changes is evaluated. (1) Based on 15 years of beach monitoring data from 2009 to 2023, the beaches with the largest average beach width, in descending order, are Haeundae (60.18 m), Songdo (57.82 m), Songjeong (49.56 m), and Gwanganri (48.45 m). (2) In terms of average overall beach slope, the ranking from steepest to least steep is Gamji (13.80°), Jungri (8.54°), and Songdo (7.87°). Beaches with steeper slopes exhibited smaller average widths and cross-sectional areas due to coastal erosion. (3) Approximately 50% of incoming wave energy was lost as waves propagated from deep water into shallow coastal waters. Changes in average beach width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fluctuations in the total monthly energy of offshore ocean waves. When total ocean wave energy was high, beach width decreased, whereas during periods of lower total wave energy (2015, 2016, and 2021), beach width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