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직 구성원의 정서인식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과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KCI 등재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Emotional Awareness on Negative Feedback Acceptanc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Gr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정서인식이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부정적 피드 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그릿(Grit)이 조절 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비관리자급 구성원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유효 응답 158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인식은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경로에서 그릿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 하였고, 간접효과에 대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이는 조직 내 정서적 자원과 개인 특성이 상호작용하여 피드백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정서인식과 정서조절 전략을 향상시키는 코칭 개입, 그리고 그 릿을 강화하는 맞춤형 코칭 프로그램이 구성원의 피드백 수용성 제고에 효과적 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ganizational members’ emotional awareness influences the acceptance of negative feedback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whether gri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is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74 non-managerial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and data from 158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awar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feedback acceptance throug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at grit moderated this mediating pathway. All key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al resources and individual traits interact to influence feedback acceptance within organizational settings. In particular, coaching interventions that enhance emotional awaren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well as tailored coaching programs that strengthen grit,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employees’ receptivity to feedbac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정서인식과 부정적 피드백
    2.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정적 피드백
    3. 그릿(Grit)과 부정적 피드백
    4. 정서인식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관계
    5. 인지적 정서조절과 그릿(Grit)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 분석
IV. 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매개효과 검증
    3. 조절효과 검증
    4.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미진(한양사이버대학교 대학원 상담 및 임상심리학과 석사) | Lee Mijin (M.A., Dept.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Hanyang Cyber University)
  • 하승수(한양사이버대학교 대학원 상담 및 임상심리학과 교수) | Ha Seung-Soo (Professor, Dept.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Hanyang Cyber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