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변화 양상에 대한 비교 분석-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 전후를 중심으로 KCI 등재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spect of Transition of Parental Coaching Programs During the Preand Post-COVID-19 Er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외부 환경이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사회 적 위기 상황인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 전후의 변화 양상을 통 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체계 이론과 사회적지지 이론, 행동 변화 이론을 분석 틀로 사용하여 2015년부터 2025년 2월까지 출판된 74편의 논문을 분석하였고, 부모코칭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주요 목적과 핵심 주 제,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적용된 운영 방식과 구성 형태,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서 활용된 코칭 요소 및 적용 방식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팬데믹 이 후 부모코칭 프로그램은 팬데믹이라는 거시체계의 변화에 부응하는 다각적 주 제가 대두되었고, 비대면·맞춤형 운영 방식이 등장 및 확장하였으며, 실제적인 코칭 요소의 적용이 프로그램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팬데믹이라는 외부 거시체계의 영향으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설 계와 방향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규명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설계에 이론적 기반 및 실용적 방향성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COVID-19 pandemic has influenced parent coaching programs. To this end, 74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5 and February 2025 were analyzed using the frameworks of ecological systems theory, social support theory, and behavior change theory. The analysis identified changes in the main purposes and themes of parent coaching programs, their modes and forms of ope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coaching elem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following the pandemic, parent coaching programs addressed a wider range of themes in response to macro-level changes, adopted and expanded non-face-to-face and customized operational methods, and incorporated practical coaching elements into program desig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mpirical investigation of how the concrete design and direction of programs are restructur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VID-19 pandemic as a macro-level external system. Furthermore, the findings provide both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guidance for the future design of parent coaching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코칭의 개념과 의의
    2. 부모코칭에 관한 선행 연구
    3. 부모코칭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연구 절차
    3. 연구 윤리 실천
Ⅳ. 연구 결과
    1. 부모코칭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주요 목적과 핵심 주제 변화
    2.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적용된 운영 방식과 구성 형태 변화
    3. 부모코칭 프로그램에서 활용된 코칭 요소 포함 및 적용 방식 변화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미영(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박사과정) | Kim Mi Young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Coaching, Graduate School, Namseoul University)
  • 백은미(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박사과정) | Baek Eun Mi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Coaching, Graduate School,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대학원 코칭학과 교수) | Do Mi Hang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 Department of Coaching, Graduate School, Namseou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