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한국화상학회 연구 동향 분석

Text Mining-Based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Society of Image Science and Techn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최근 디지털 전환과 나노·광학 기술의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화상(이미지·광학) 분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연구 흐름을 계량적으로 조망한 분석은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4–2024년 11년간 한국화상학회지에 게재된 167편논문 초록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여 국내 화상 연구의 흐름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분석은 불용어 제거·표제어 변환을 거친 키워드 전처리, 키 워드 빈도 분석, LDA 토픽 모델링과 의미망 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크게 6개의 토픽(광학 코팅 및 성능 최적화, 나노 소재 기반 광학 장치 개발, 광학 특성 측정 및 분석 기술, 이미지 처리 및 디스플레이 기 술, 유기 고분자 기반 신소재 및 반응 연구, 기능성 재료 및 에너지 응용)으로 수행되었다. 각 토픽의 핵심 키 워드는 동시출현빈도 기반의 의미망 분석을 통해 핵심 키워드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국내 화상 분 야의 세부 연구축과 성장 영역을 데이터 기반으로 제시하여 향후 연구 로드맵 수립에 기여한다.

The converge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nano-optical technologies has accelerated recently, leading to a surge in imaging (image and optical) research. Despite this trend, quantitative analyses surveying domestic research trajectories are rare in South Korea.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performing text mining on 167 abstract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over an 11-year period (2014–2024)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flow of domestic imaging research. The analysis involved several steps: keyword preprocessing (including stop word removal and lemmatization), keyword frequency analysis, 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earch primarily identified six distinct topics: optical coating and performance optimization, development of nano-material-based optical devices, optical property measurement and analysis technology,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technology, organic polymer-based new materials and reaction studies, and functional materials and energy applica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re keywords within each topic were further examin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based on co-occurrence frequency. This study contributes to future research roadmap development by providing data-driven insights into the specific research axes and growth areas within the domestic imaging fiel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 방법론
    2.1.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2.2. 의미망 분석
3. 연구 자료
4. 연구 결과
5.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윤상후(61168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전남대학교 수학, 통계학과) | Sanghoo Yoon (Department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 이부건(61168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전남대학교 수학, 통계학과) | Bugeon Lee (Department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 송종원(38453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대구대학교 화학교육과) | Jong-Won Song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Daegu University, Gyeongsangbuk-do, 3845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