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의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이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향상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 서는 기계적 자극과 염 스트레스에 대한 오이묘의 반응을 조 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오이 종자는 상업적 공정육묘상토가 충진된 40구 트레이에 파종하였고 파종 후 29일부터 아크릴 필름을 이용하여 브러싱 처리를 2시간 간격으로 진행하였다. 브러싱 자극 7일 후 NaCl 용액을 이용하여 50, 100, 150, 200m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NaCl 처리 9일 후 오이묘의 생 육과 스트레스 반응을 조사하였다.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 그리고 지상부의 생체중이 감소 하였으며, SPAD 값은 NaCl의 농도와 관계없이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 근장과 뿌리 부피 가 감소하였지만, 브러싱 처리구에서는 총 근장과 뿌리 부피 가 증가하여 NaCl의 처리에 대한 영향을 완화 시켰다. MDA 와 H2O2 농도는 NaCl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브러싱 처 리로 인해서도 높은 MDA와 H2O2 함량이 나타났다. 결론적 으로 기계적 스트레스와 염분 스트레스가 모두 스트레스 반응 을 일으켰으며, 기계적 자극이 염 스트레스로 인한 뿌리 생장 억제를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기계적 자 극의 처리 강도 조절을 통한 스트레스 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여진다.
Earlier studies have reported that mechanical stimulation can enhance plant resistance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sponse of cucumber seedlings to salt stress combined with mechanical stimulation. Cucumber seeds were sown in 40-cell plug trays filled with commercial seedling medium. Brushing treatment using an acrylic film was applied every 2 hours, starting 29 days after sowing. After 7 days of brushing, NaCl solutions at concentrations of 50, 100, 150, and 200 mM were applied to both brushing and non-brushing groups. Growth and stress responses were measured 9 days after NaCl treatment.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fresh weights of shoots and roots decreased as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However, SPAD values increased with higher NaCl levels. Brushing treatment reduced plant height regardless of NaCl concentration. While total root length and root volume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brushing treatment mitigated these effects by increasing root length and root volume. MDA and H2O2 levels increased with NaCl treatment, and the brushing group showed higher contents of both than the non-brushing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mechanical and salt stresses increase stress responses in cucumber seedlings, and mechanical stimulation may alleviate salt-induced root growth inhibi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ress tolerance may be induced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intensity of appropriate mechanical st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