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료의 생리적 반응성이 고추 플러그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Growth and Development of Red Pepper Plug Seedlings as Influenced by Physiological pH Reactivity of Fertiliz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4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육묘과정에서 생리적 반응성이 다른 비료로 추비할 때 홍고 추 3품종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72셀 트레이에 시판상토를 충진하고 ‘AT Sinhotan’, ‘Allbokhap’ 및 ‘Callatan’ 품종의 종자를 파종한 후 암상태에 서 발아시켰다. 발아 후 25℃의 육묘실로 옮겨 질소 기준 150mg·L-1으로 농도를 조절한 산성, 중성, 알칼리성 및 동일 한 농도의 산·알칼리성 비료 교호 처리구 등 4처리로 실험하 였다. 생육 조사는 파종 후 39일과 56일에 2회 수행하였으며, 처리한 생리적 반응성에 영향을 받아 고추의 초장, 경경, 지상 부 생체중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생리적 반응성 중 품종에 관계없이 중성 비료 처리구에서 경경과 생체중 등 모 든 조사항목에서 생육이 우수하였다. 파종 후 56일째 ‘Callatan’ 품종이 타 품종들 보다, 그리고 각 품종 내에서는 중성 비료와 교호 시비 처리구에서 개화수가 많았다. 중성 비료 처리구에 서 엽면적이 가장 넓었고, SPAD 값은 산성 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컸다. 식물체의 무기원소 분석 결과, 교호 시비 처리구의 ‘Callatan’ 품종이 Ca을 제외한 모든 원소의 함량이 높았다. 생리적 반응성이 다른 비료를 처리할 때 생육 차이가 발생하 는 본 연구의 결과는 육묘과정의 생장조절을 위한 기초 자료 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ological reactivity of post-planting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three red pepper plug seedlings. The 72 cell trays were filled with a commercial root medium and seeds of ‘AT Sinhotan’, ‘Allbokhap’, and ‘Callatan’, were sown. The trays were located in dark germination room until germination. After germination, the trays were transferred to a nursery room and seedlings were feed with physiologically different four kinds of fertilizer solutions such as acidic, neutral, alkaline, or acidic/alkali alteration. The application concentration of fertilizer solutions was 150 mg·L-1 based on N. The growth of seedlings was measured twice on 39 and 56 days after sowing. The different kinds of fertilizer solutions influenced differently on seedling growths with the highest growth in the treatment of neutral fertilizer.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fresh weight of above ground tiss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4 kinds of fertilizer solutions. After 56 days after sowing, ‘Callatan’ or the fertilizer treatments of neutral and acidic/alkaline alteration had more flowers than other varieties or other fertilizers, respectively. The leaf area and the SPAD value were the highest in the treatments of neutral and acid, respectively. The ‘Callatan’ hot pepper or fertilizer treatment of acidic/alkaline alteration had higher tissue nutrient contents except Ca than other varieties or fertilizer treatm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achieved through this research such as the influence of physiological reactivity of fertilizers on the seedling growth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growth control in seedling raising.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및 재배환경
    2. 육묘 중 처리된 생리적 반응성
    3. 식물체 생육 조사 및 분석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비료의 생리적 반응성 별 고추 플러그 묘의 생육
    2. 비료의 생리적 반응성 별 고추 플러그 육묘 후 상토의화학성 및 식물체 무기원소 분석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박인숙(충남대학교 원예학과 연구교수) | In Sook Park (Research Professor,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Korea)
  • 박명선(충남대학교 원예학과 연구원) | Myong Sun Park (Researcher,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Korea)
  • 천종필(충남대학교 원예학과 교수) | Jong Pil Chun (Professor,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Korea)
  • 최종명(충남대학교 원예학과 명예교수) | Jong Myung Choi (Honorary Professor,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