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se Study of Figure Therapy for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in Group Homes
본 연구는 공동생활가정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인형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를 질적 사례연구로 분석한 것이다. 인형치료를 통한 정신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기능 회복, 그리고 자립과 상호작용 변화를 탐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 에서 본 연구는 2025년 2월 1일부터 2025년 6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IRB 승인(8223-202504-HR-020-0)을 받았다. 2025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인형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성 정신장애인 4명으 로, 역할놀이를 통해 과거 경험과 정서를 표현하고 상호작용을 개선하였다. 자료 분석은 소 감문, 관찰 기록, 녹취록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질적 사례 분석 기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자신의 과거를 회고하며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를 드러내고, 자신의 문제 를 인식하면서 행동이 변화되었다. ‘어린 시절을 그리워함’, ‘공격성을 보임’, ‘후회스러운 과 거를 회복하고 싶음’, ‘안식처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짐’이라는 4개의 주요 범주와 9개 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이는 참여자들이 인형치료를 통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며, 협력하는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인형치 료가 정신장애인의 정서적 안정 및 사회적 기능 회복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 다. 결론적으로 인형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인의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 성하고, 정서적 지지와 자아 성장을 촉진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puppet therapy program on individuals with mental disorders residing in group homes,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changes in emotional stability, recovery of social functioning, and shifts in autonomy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s through puppet therap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June 10, 2025, follow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pproval No. 8223-202504-HR-020-0). The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over eight sessions between April 1 and May 31, 2025, involving four male participants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Through role-play activities, participants expressed past experiences and emotions while improving social interac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ritten reflections, observation logs, and session transcripts,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case analysis methods. The findings revealed four major categories and nine subcategories, including ‘Longing for childhood’, ‘Expression of aggression’, ‘Desire to recover from a regretful past’ and ‘Hope for the future in a safe space’. These themes demonstrated that puppet therapy contributed to participants' deeper self-understanding, emotional regulation, and formation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The results suggest that puppet therapy is a valuable intervention for fostering emotional expression, providing psychological support, and promoting self-growth among individuals with mental disorders in residential group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