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인쇄 회로 열교환기 채널의 응력 집중 분석 KCI 등재

Stress Concentration Analysis of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Channels Using a Submodeling Techniqu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6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쇄 회로 열교환기 채널에서의 응력 집중 해석을 수행하였다.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응력 집중부의 응력을 도출하 기 위해 전체 시스템의 해석 결과를 활용하는 부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였다. 미세한 기하학적 형상과 비가역적 소성 변형을 고려한 부 모델의 탄성 및 소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탄성 및 소성 해석에서 얻은 응력을 통해 미세한 기하학적 형상이 PCHE의 응력 분포에 미치 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탄성 해석과 소성 해석에서의 최대 폰 미제스 응력을 비교하여 응력 집중부의 응력 집중 경향과 소성 변형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stress concentration analyses of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PCHE) channels are perform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stresses at the channel tips, where stress is concentrated, a submodeling techniqu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ntire system is employed. In the submodel, elastic and plastic analyses are performed considering the detailed geometric features of the channel tip and irreversible plastic deformation. By analyzing the stresses obtained from both elastic and plastic analyses, the influence of the fine geometric features at the channel tip on the overall stress distribution of the PCHE is examined. Additionally,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values obtained from the elastic and plastic analyses of the submodel are compared to identify stress concentration tendencies and plastic deformation at the channel tip.

목차
Abstract
1. 서 론
2. PCHE 열-구조 해석을 위한 모델과 경계 조건 및 수송물성치
    2.1 PCHE 모델
    2.2 작동 유체와 전열판의 물성치
    2.3 PCHE 해석을 위한 지배방정식, 경계 조건, 그리고 수송물성치
3. 응력 집중 분석을 위한 PCHE의 열-구조 해석
    3.1 전체 PCHE 모델에 대한 열-구조 해석 결과
    3.2 부모델링 기법을 사용한 PCHE 모델에 대한 열-구조해석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요 지
저자
  • 이승훈(한국해양대학교 냉동공조공학과 석사과정) | Seunghun Lee (MS student, Department of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ing, Korea Maritime & Ocean Univ, Busan, 49112, Korea)
  • 박진성(동화엔텍 기술연구원) | Jin-Seong Park (Technical Researcher, DongHwa Entec, Busan, 46753, Korea)
  • 조종래(한국해양대학교 기계공학부 명예교수) | Jong-Rae Cho (Emeritus Professor,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Korea)
  • 김문홍(한국해양대학교 기계공학부 부교수) | Moonhong Kim (Associate Professor,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