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FDM 출력 공정 변수에 따라 결정되는 출력물의 비등방 물성을 구조 해석 과정에서 반영할 수 있는 개선된 해석 방안을 제안하였다. 출력 공정 변수에 대한 물성의 민감도를 분석하였으며, 실제 출력물에 대한 인장 시험을 통해 적층 방향에 따라 이방 특성이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출력물에 대한 단면 분석을 통해 적층 레이어 높이 및 필라멘트 채움률 등의 공정 변수 들이 내부 공극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출력물의 이방 특성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적층 방향, 적층 레 이어 높이, 필라멘트 채움률 등이 동시에 고려된 균질화 모델 분석을 통해 출력 과정에서 발생되는 내부 공극 분포가 출력물의 기계적 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치 예제로써 로어 컨트롤 암 출력물의 비등방 특성이 반영된 구조 해석을 수행하였 으며, 이를 통해 FDM 출력물 설계 과정에서의 개선된 해석 방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n enhanced analysis model to derive the anisotropic properties of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3D-printed parts manufactured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nozzle path, layer height, and filament filling rate. The sensitivity of mechanical properties to different process variables was examined, and anisotropy was confirmed through tensile test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increasing the layer height and decreasing the filament filling rate led to larger voids, clearly demonstrating anisotropic behavior. A comparison of material properties considering the laminated direction, layer height, and filament filling rate showed that anisotropic characteristics decreased as void size decrease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a lower control arm as a benchmark problem, the derived anisotropy was numerically tested and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