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의 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KCI 등재

A State-of-the-art Overview of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Current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9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는 지난 25년간 국내 경영학(국제경영, 인사조직) 분야의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 를 분야와 종류,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방법 등으로 분류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과제 를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 사이에 국내 국제경영 분야의 대표 학술지(국제경 영연구, 국제경영리뷰), 인사조직 분야의 대표 학술지(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그리고 경영학 분야 의 대표 학술지(경영학연구, 대한경영학회지)에 게재된 114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 았다. 분석 결과,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는 2014년 이전보다 2015년 이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인사관리 분야와 노사관계 분야와 비교해 조직행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념연구와 비교해 실증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대다수의 실증연구는 1차 자료와 횡단자료를 활용하여 개인 수준에서 다수 업종 다수기업을 대상으로 가설 검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인적자원 관리 연구의 향후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IHRM) researc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114 IHRM articles from six major international busin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s, and management journal – International Bushiness Journal,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Korean Management Review,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for the period 2000-2024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research topic,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Findings as follow. First, The number of IHRM research paper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2015 compared to before 2014. Second, the number of papers in organizational behavior far exceeded that in personnel management and industrial relations. Third, empirical research overwhelmingly outnumbered conceptual research and the majority of survey studies tested hypotheses using cross-sectional and primary data. Fourth, most empi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argeted multiple companies across multiple industr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nt study ends by suggesting the agenda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정의와 범위
Ⅲ.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
    3.1 분석 대상
    3.2 분류 기준
    3.3 자료의 코딩
Ⅳ. 분석 결과
    4.1 학술지별 게재논문 편수
    4.2 연구 분야별 논문 편수
    4.3 연구 종류별 논문 편수
    4.4 연구 설계별 논문 편수
    4.5 실증분석 논문의 방법론
    4.6 연구 분야별 상세 분석 결과
Ⅴ. 향후 연구과제
References
<부록> 국제인적자원관리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
Abstract
저자
  • 배준영(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교수) | Jun-Young 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