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장기적 생존을 위해 혁신은 필수적이며, 이는 사회과학 연구자와 기업 실무자 모두에게 지속적인 관심 의 대상이다. 본 연구는 다국적 IT기업의 관계지향적 조직문화가 LMX와 조직신뢰, 그리고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LMX가 조직신뢰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조직신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사회 교환 이론에 기초하여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와 LMX, 조직신뢰, 그리고 혁신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에 진출해 있는 다국적 IT기업에 근무중인 220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계지향적 조직문화가 LMX와 조직신뢰 그리고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MX가 조직신뢰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신뢰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관계지향적 조직문화가 LMX, 조직신뢰, 혁신행동 등과 같은 조직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여 통합 적 이론 모델을 제시하고, 다국적 IT기업이 구축해야 할 조직문화 유형을 제안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Innovation is essential for the long-term survival of businesses and is a constant concern for both social science researchers and business practitione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a multinational IT company’s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n LMX,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LMX on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clarif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trust on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this established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LMX,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survey data from 220 employees at multinational IT companies operating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LMX,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LMX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LMX,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thereby proposing an integrated theoretical model and suggesting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that multinational IT companies should establish.